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례다. 연구진은 CT와 MRI 이미지를 3D로 구현한 뒤, 수술용 카메라가 포착할 실제 영상에 이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방식으로 AR 수술 내비게이션을 만들었다. 가령, AR 기능을 갖춘 태블릿PC로 환자의 가슴팍을 비추면 내부의 심장, 혈관, 신경, 갈비뼈 등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게임과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건국대 의대 교수팀은 20대와 40대의 뇌 차이를 MRI로 분석해 그 결과를 2004년 ‘대한영상의학회지’에 발표했다. 분석결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 부위는 소뇌였다. 40대의 평균 소뇌 부피는 121.83cm³로 20대 평균인 133.73cm³에 비해 11.9cm³ 가량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부피 감소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뮤직비디오는 잭슨을 팝의 황제로 안내하는 레드카펫과 같았습니다. 텔레비전 발명 이후 영상이 중요해지자, 잭슨은 뮤직비디오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영화 제작진과 함께 영화 같은 대규모 뮤직비디오를 제작해 큰 화제가 됐지요. 잭슨은 세련된 곡에 멋진 춤, 화려한 퍼포먼스, 획기적인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홀로그램 기술에 있어서 세계적인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홀로그램은 쉽게 말해 영상을 원하는 위치에 구현하는 기술이다. SF 영화에나 등장하는 실현 불가능한 기술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초기 단계의 홀로그램을 구현한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교수팀은 기존 홀로그램 기술의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맞추지 못하면 자동차에 치일 수 있다. 게임 도중 참가자들의 뇌 변화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사춘기 청소년과 성인이 위험을 감수하려는 빈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사춘기 청소년의 경우 주변의 시선에 따라 위험 감수 정도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가령,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힘을 길러준다. 또 충동적인 행동을 하기 전에 브레이크를 거는 역할도 한다. 그간 뇌 영상연구를 통해 이성적인 판단을 담당하는 전두엽이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발달을 시작해, 사춘기가 끝나고 성인으로 가는 20대 중반이 돼서야 비로소 발달이 완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 따르면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술료를 받고 있다. 정덕균 교수는 디지털회로 설계 분야의 권위자로, 고화질의 영상을 손상 없이 고속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비디오 전송방식(DVI)을 개발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았다. 정 교수팀이 DVI를 발전시켜 개발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는 현재 대부분의 디스플레이에 표준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됐다. 파라 아이스하키 정승환 선수는 “회전은 얼마나 급하고 속도는 얼마나 빠른지 영상을 찍어 분석해줬다”며, “무른 얼음에선 직선 날이 좋고, 단단한 얼음에선 회전이 쉬운 둥근 날이 좋다”고 말했다. 개발원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휠체어 컬링팀을 위한 훈련 장비를 만들고 있다. 스톤을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 부유입자의 움직임을 조종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산란시킨 빛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의 영상을 만들었다. 부유입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또 자신의 자식과 평소 가까운 다른 아이 사진을 보여줄 때 뇌의 반응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확인 했습니다. doi:10.1002/hbm.23562 그 결과 기업가는 자신이 일군 회사를 볼 때 마치 자기 아이를 볼 때와 똑같이 우측미상핵(right caudate nucleus)과 같이 보상과 감정 처리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