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운전할 수 있답니다.” 17.5배 길어지는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은?연구실 안쪽에는 영상 속에서 보았던 드론이 있었어요. 로봇 팔을 개발한 김석준 연구원이 버튼을 누르자 로봇 팔이 아래쪽으로 길게 늘어났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수 초만에 어른 팔 길이만큼 늘어난 로봇 팔의 모습을 보며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요가를 하기도 하고 드라마나 예능을 보면서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좋아하는 가수의 영상을 보면서 더 열심히 연구할 수 있는 에너지를 얻기도 하고요. 이영애 교수: 산책을 하거나 단 음식을 찾습니다. Q. 만약 수학자가 되지 않았다면 어떤 일을 하고 계셨을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이영애 ...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발목에 큰 무리가 갈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적 분석 | 임팩트 시간 늘려 운동량 증가영상을 분석하면 공을 때리기 전과 공을 때리는 순간까지는 그의 어깨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24도, 32도로 더프너 선수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스윙 이후에는 53도가 되면서 더프너 선수(64도)에 비해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리가 무언가를 선택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뇌파와 기능성자기공명영상장치(fMRI)를 이용해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를 모델링한다. 그는 인간이 의사결정을 하는 동안 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 이론을 찾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 ... ...
- [인터뷰] 이상구 성균관대 입학처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진행된다. ‘글로벌인재전형’도 의예, 교육학, 한문교육, 수학교육, 컴퓨터교육, 영상학, 스포츠과학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는 100% 서류평가만 실시한다. 성균관대는 수능 최저기준도 없다.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특성화고졸업자, 장애인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원 외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부하는지 촬영하는 등 절치부심했다. 학교에서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영상을 보면서 친구들의 공부법을 분석하고, 자신만의 학습법을 만들었다. 그 결과 성적은 빠르게 향상됐고, 3학년 때는 1.7등급으로 껑충 뛰어올랐다.공 씨는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후배들에게 도움을 ... ...
- [가상인터뷰] 시조새는 쥐라기 하늘을 날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찾는 데 성공했지. 그 방법은 싱크로트론 방사광 시설을 이용해서 정밀한 X선 단층 영상을 찍는 거였어. X선을 쪼여서 여러 층의 사진을 찍으면 화석을 자르지 않고도 뼈 내부의 구조를 알아낼 수 있거든. 이 방법으로 시조새의 날개 뼈 내부 구조를 관찰한 결과, 우리의 뼈 내벽이 공룡보다 훨씬 ... ...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니켈타이타늄 형상기억 합금은 일반 스프링보다 탄성력이 20배 정도 뛰어나요. 공개된 영상 속 초탄성 타이어는 모래와 뾰족한 암석이 많은 공간을 매우 자유롭게 이동했고, 깨지거나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해 보였답니다. 공이 바퀴가 되다?!지난 2016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별미는 입주자(출연자들을 부르는 말)들의 영상을 지켜보는 예측자들의 명언이다. 이들은 입주자 간의 ‘하트시그널’, 즉 호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오늘도 TV로 연애를 공부할 독자들을 위해, 방송에 등장한 하트시그널을 정리했다. [하트 시그널 1 ... ...
- [과학뉴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맹금류가 무섭게 달려드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했다. 일반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뇌는 공포를 담당하는 ‘기저측 편도’와 불안과 공격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내측 전두엽’이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