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케데헌 보다가 알아낸 것포스팅 l20250726
- 그 영상중에 어떻게 루미랑 조이처럼 완전히 의태해서 춤추는거에 대한게 있었거든요근데요...어디서 들었는지 알아냈어요훔쳐들은게 아니고, 악귀들이랑 지하철에서 싸우는 씬에서 Take down을 부릅니다...그리고 그 파트 중에 후렴부가 포함되어있습니다 ㅎㄷㄷ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 KAI의 인공위성이번 파트의 제목은 KAI의 인공위성 이었지만, 이번 파트는 시간이 모자라서 KAI의 소개영상으로 끝났습니다.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이렇게 강연은 끝났고, 단체사진 촬영 후 미션은 끝났습니다. KAI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으니 더 이해가 잘 됬습니다. 이상으로 차지환 기자였 ...
- [출동! 기자단]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탐방기 - 인공태양 연구의 중심지를 다녀오다기사 l20250718
- 있었습니다. 아래 영상으로 확인해보시죠.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출처: 직접촬영위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원자핵이 자석을 통과해버리고 다 빠져나가서 핵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이 동그란 도넛 모양으로 장치를 만들었는데요. 그런데 여기서 또 다른 문제가 ...
- 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다녀오다!기사 l20250717
- 이제 이 글의 핵심인 한국의 토카막, K-STAR입니다. K-STAR의 뜻은 한국 초전도 자석 토카막 고성능 연구입니다. 교수님께서는 K-STAR의 영상도 보여주셨는데요. 가장자리가 가장 빛이 났습니다. 하지만 가장자리가 가장 온도가 높은 것이 아니고, 눈에 보이지만 않을 뿐 가운데가 가장 온도가 높다고 합니다. 이렇게 몇 년전 K-STA ...
- 한국의 위공위성기사 l20250717
-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저궤도 위성은 지구에서 500km에서 2,000km정도 떨어져 있고 무게는 1톤에서 2톤에 달하며 이미지 및 영상 촬영에 활용됩니다. 중궤도 위성은 5,000km에서 20,000km 떨어져 있고 무게는 1톤에서 2톤, 내비비게이션에 활용됩니다. 정지궤도 위성은 36,000km 떨어져 있으며 무게는 3톤에서 4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