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태우 포스텍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잘 통하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전자를 만나면 빛을 내는 입자인 ‘정공’을 그래핀
전극
안에 잘 들어가게 만들어 발광효율을 기존의 100배나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빛을 내는 벽지와 커튼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
USB 크기의 칩 하나면 바닷물을 담수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전기가 가해지는 순간
전극
이 바닷물 내의 염화이온의 일부를 중화시키는 것이다. 즉
전극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지면서 물과 염 이온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 이렇게 분리된 담수는 마이크로 채널을 따라 흘러나와 분당 약 40 나노리터가 만들어 진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해수담수화 시설 ... ...
물에 녹인 젤로 태양전지 값싸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장치로,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만들기 쉽고 재료비도 20~30%밖에 들지 않는다. 문제는
전극
사이에서 전기를 흐르게 만드는 ‘전해질’이 액체여서 휘발해 날아가거나 샌다는 것. 많은 연구자들이 액체전해질 대신 고분자를 유기물에 녹여 젤 상태로 만든 전해질을 개발했지만 점도가 높아 ... ...
복잡한 리튬공기전지 제작, 단번에 끝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과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리튬공기전지의 촉매 금속으로 사용되는, 금 또는 백금
전극
을 벤젠용액에 담근 뒤, 플라즈마를 일으켜, 금속 촉매 나노 입자를 만드는 동시에 이 입자가 다공성 탄소에 합성되도록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공성 탄소 화학물이 구조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 ...
3D 프린터 알고보니 도깨비 방망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머리카락에 불과할 만큼 매우 미세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지에
전극
이 흐를 수 있도록 양극에는 리튬 금속화합물을, 음극에는 다른 나노입자를 사용했다. 루이스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3D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지닌 미세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 ...
이마에 15분간 패치 붙였더니 “피오나 공주가 백설공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대한 욕구가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또 우울증 때문에 의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전극
으로 보상회로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윤 연구원은 “전류를 높이거나 전류를 흘려보내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약물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고 뇌수술의 위험성을 극복해 각종 ... ...
1000배 빨리 급속 충전되는 마이크로건전지 등장
과학동아
l
2013.06.12
스펀지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 크기는 작아도 충전을 많이 할 수 있다. 또
전극
들이 가까워서 전자와 이온이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충전과 방전이 빨리된다. 이렇게 만든 마이크로전지의 출력밀도는 기존 초소형전지보다 2000배 높았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일반 ... ...
이게 신문이야? 태양전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6.11
대량생산에 유리할 뿐 아니라 유기 태양전지에 들어가는 값비싼 재료인 ‘인듐산화물
전극
(ITO)’를 쓰지 않고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 김인영 연구원은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데다 생산단가도 크게 낮출 수 있어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유기태양전지의 최대 ... ...
눈이 부시도록 밝은 OLED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9
없애기 위해 금속 대신 투명
전극
만을 활용해 투명OLED를 제작했다. 그런 후 투명
전극
양 끝에 원뿔과 렌즈 모양으로 설계된 광 추출 미세패턴을 붙여 전반사를 최소화했다. 그 결과 외부발광효율이 기존의 30%에서 47%로 높아졌다. 동시에 내부 발광효율도 높아지는 것을 발견했다. 김정주 교수는 ... ...
태양전지 효율 세계적 수준까지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전자와 정공이 쌍으로 결합한 엑시톤이 만들어지고 여기서 분리된 전자와 정공이
전극
으로 이동하는 것이 고분자 태양전지의 원리다. 상용화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내기 위해서는 태양광을 흡수해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활성층과 나노 입자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너무 가까우면 ... ...
이전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