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처리한 그래핀을 쌓아 종잇장처럼 얇은 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미터) 두께의
전극
을 만들어 인공근육으로 활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 그래핀 인공근육은 6시간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장애인용 보조기구에 쓸 수 있는 새로운 ... ...
쏴~ 샤워기 물이 전기로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4.28
이번에 연구팀은 물의 움직임을 활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투명한 기판 위에
전극
을 만들었다. 그 위에 전자 이동을 유도하는 '유전체층'과 기판에 물이 맺히지 않고 곧바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발수층'을 포갰다. 물방울이 발수층을 흘러내리면서 유전체층을 만나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김태근 교수 -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 전자기기에 필요한 투명 메모리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 ... 사진(왼쪽)과 ITO 층 위에 흡착된 RGO 플레이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오른쪽). ※ITO=투명
전극
. - 고려대 ... ...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동시에 이 때 생긴 그래핀으로
전극
활물질의 표면을 코팅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만든
전극
활물질을 이용하자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이 2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공정 자체가 간단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 게 장점”이라며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약 1. ... ...
태양전지, 창문에 붙일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
과학동아
l
2014.04.07
만들어 태양전지에 적용하는 데 성공한 적 있는데, 이번에는 성능이 20배나 더 뛰어난
전극
을 만들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만든 태양전지는 유연하면서도 반투명이기 때문에 창문형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스마트 의류를 만드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늘었고, 그래핀
전극
보다는 4배나 증가했다. 박 교수는 “버려지는 폐기물에서 새로운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르다”면서 “바이오매스 분야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 ...
휘어지는 태양전지, 신문처럼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14.03.25
만들어 직렬 배열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작은 유기 태양전지들을 직접
전극
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고안한 것이다. 실제 이 같은 태양전지 제작기술을 적용한 결과 제작 기판의 단위 면적당 태양전지의 유효면적이 20~30% 늘어났다. 같은 넓이의 기판을 사용할 경우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이들은 금속이지만 저분자 물질이어서 체내에서 서서히 용해되는 특성을 이용했다.
전극
사이에 들어가는 배터리액은 인산 성분이 들어간 식염수를 이용해 유해성을 없앴다. 외부는 ‘폴리 무수물’이라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감쌌다. 배터리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1μm=100) 정도로 2.4mA의 전기를 ... ...
배터리? 인프라?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3.19
배터리의 화학적 구조와 원리를 밝혀내고, 전지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내부
전극
에 탄소를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11일 발표했다. 전력효율을 더 높이는 한편, 안전성 역시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리튬인산배터리 연구가 진행 ... ...
전기 빨아먹는 미생물 발견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로도슈도모나스’ (Rhodopseudomonas palustris)를 철분이 없는 환경에서 배양한 결과, 마치 ‘
전극
’처럼 금속이나 황 같은 토양물질에서 전자를 당겨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동안 로도슈도모나스가 광합성이나 호흡을 하기 위해 철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철분 속 전자를 흡수하는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