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운동을 시킨 쥐의 백혈구가 더 증가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백혈구는 감염을 일으킨
세균
에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하므로 당연히 운동을 시킨 쥐가 운동을 하지 않은 쥐보다 3-4일 정도 빨리 감염에서 회복됐다.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력이 감퇴할 경우 운동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 ...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데는 적합하겠지만 인간에 적용하기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인간의 게놈은
세균
의 게놈보다 수천배 크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쪽지를 읽어야 하고, 이들 각각을 비교하는데 엄청나게 성능이 뛰어난 소프트웨어와 컴퓨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그러나 벤터는 다국적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이기기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운동을 하고 들어오는 아이들의 발냄새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발냄새는 발바닥에 사는
세균
이 피부로 분비되는 지방질을 분해해서 사슬길이가 짧은 지방산을 분비한다. 휘발성을 갖는 이 지방산이 고약한 발냄새를 풍긴다. 발효 식품들 중에 고유한 냄새를 내는 것들도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 ...
카텝신C 부족하면 잇몸질환 발생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사람들은 평균 세사람에 한명꼴로 각종 구강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문제는 구강 내의
세균
이 심장질환에서 조산(早産)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환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최근 영국 맨체스터대학 등에서는 심각한 잇몸질환이나 성장기 치아상실 증상을 일으키는 희귀질환인 ‘파피용-르페브르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증가하거나 감소해 생기는 것이다. 장의 연동운동이 감소하면 소장에서 몸에 해로운
세균
이 과도하게 성장해 소화 흡수를 방해하므로 설사가 일어난다. 반대로 장의 연동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음식물이 장내에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빠르게 지나가므로 소화와 흡수가 충분히 일어나지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살펴보면 인류에게 복음으로 작용하던 신약이 곧 재앙으로 바뀐 경우가 많이 있다.
세균
과의 전쟁에서 인류에게 결정적인 무기로 작용했던 항생제 페니실린이 한 예다. 당시에는 지구의 모든 감염증이 사라질 것이라고 기대됐지만, 무절제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내성이 증가하는 바람에 어떤 ... ...
개미가 지자기를 감지하는 방법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하나의 나침반으로 이용해 자기장을 감지한다는 의미다. 자성을 가진 광물 결정들은
세균
에서 철새에 이르기까지 많은 생물에서 관찰되고 있다. 문제는 어떻게 자성을 가진 입자들이 체내에서 작용하느냐 하는 것이다. 자기장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연구자들은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일생인 셈이다. 이에 비해 몸이 둘로 나눠지는 이분법(二分法)으로 번식하는 효모나
세균
은 끝없이 분열하기 때문에 수명을 논하기 어렵다.출아효모보다 수명이 더 짧은 생물도 있다. 버섯이 그것이다. 1천년을 넘게 사는 버섯이 있다는 말도 전해지지만, 여름 날 비온 뒤 음습한 곳에 돋아난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미생물의 단백질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세포를 파괴한다.해열제열은 우리 몸이
세균
감염에 대항하는 한 방법이다. 사람이 위험한 미생물에 감염되면 피로젠이라는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체온조절기관에 작용해 열을 나게 만든다. 흔히 집에서 먹는 해열제는 체온 조절기관에 직접 작용해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 어쨌든 페텐코퍼는 1901년 83세의 나이에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치열하게
세균
감염설을 반대했다.그렇다고 페텐코퍼의 주장이 전혀 무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페텐코퍼가 ‘몸소 보여주었듯이’ 전염병은 병원균만 있다고 걸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병원균이 발생하는 환경과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