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40%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후에도 한발은 지속적으로 진행돼 사막지역이
남쪽
으로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으며, 1980년대 전반에는 사헬지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의 반건조 기후지역 전반에 걸쳐 심각한 한발이 일어나 사막화가 더욱 진행됐다.이러한 사막화현상은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근처의 게성운 속에서 발견된 펄사(PSR 0531+21)로서 이미 1054년에 관측되었다. 벨라자리(
남쪽
하늘의 별자리)의 펄사(PSR 0833-45)도 여기에 속한다.초신성 잔해는 수만년 정도가 지나면 물질들이 점점 확산되기 때문에 시야에서 사라진다. 따라서 초신성 펄사의 나이는 아주 젊다. 게성운 펄사는 1054년에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길게 뻗어있음이 혜성의 모습을 돋보이게 했다.혜성은 5등급대의 밝기를 유지하며 계속
남쪽
으로 내려가지만 박명시의 혜성 고도는 별반 낮아지지 않아 계속적인 관측이 가능했다. 이 혜성 관측의 마지막 시기는 12월 중순이었다. 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12일은 초저녁 무렵에 달의 영향에서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관측할 수 있는 크고 밝은 산개성단이다. 약 1백여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고, 이 성단의
남쪽
0.5도에 위치하는 6등급의 별을 제외한 성단의 총 광도는 6.2등급이다. 이것은 약 4천2백광년 떨어져 있고 실제 크기는 21광년 정도 되고 우리가 보는 시직경은 보름달의 2/3정도 크기인 20’다.M38의 별들은 ... ...
타분 동굴의 유해, 인류최초의 매장 증거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살았던 이 여성은 35~40세의 나이로 사후에 정중히(?) 매장됐다. 이스라엘의 하이파시(市)
남쪽
에는 카멜산이 있는데 이곳의 타분(Tabun)동굴은 선사시대 유적지로 유명하다. 이 타분동굴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29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의 고고학자 도로시 가로드박사가 5년간의 작업끝에 찾아낸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같은 염기를 토양에 되돌려 보내지도 않는다. 포드졸 토양에서의 농업은 기온이 높은
남쪽
주변부에서 상당한 양의 석회와 기타 비료를 투입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경작이 가능한 농작물로는 생육기간이 짧은 곡물이 적합하다. ■툰드라 지역/토탄의 형태로 집적툰드라 토양은 북극지방에 넓게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는 원숭이가 살고 있다는 것은 일본 열도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지는 작은 지판이
남쪽
에서 북상해 왔으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규슈 남부에서 남북으로 뻗어 있는 가고시마지구 내에는 기리시마회산군 사쿠라지마 화산 개문악(開聞岳) 등이 줄지어 있으며, 이 중 사쿠라지마 화산은 분연을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 날개에 여덟 팔(八)자가 거꾸로 그려져 있는 '북방거꾸로 여덟팔나비', 태풍을 타고
남쪽
열대지방에서 날아와 우리나라에 자리잡은 '별선두리왕 나비', 날개에 커다란 눈을 10개나 가지고 있는 '눈많은 그늘나비'등이 그것이다.우리나라 나비가운데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2종류가 있다.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통과한다.화성게자리로부터 쌍둥이자리로 옮겨가며 하순에는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남쪽
에서 보인다. 밝기는 -0.7등급에서 -1.2등급으로 매우 밝아진다.목성처녀자리에 위치하며 밝기는 -1.5등급이다.토성염소자리에서 0.9등급으로 보인다. 22일경 금성 바로 옆에 위치한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등별이다. 이 별은
남쪽
지평선 위로 한뼘 정도되는 높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가을의
남쪽
하늘에서 홀로 외롭게 빛나는 포말하우트를 가리켜 서양에서는 외로운 별(Lonely Star)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별은 중국에서는 북락사문(北落師門)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북락사문은 실제 중국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