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에 의해서다.그러나 그후 이 별자리의 그림에 중요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남쪽
별 카라의 목걸이에 심장을 나타내는 하트 모양이 그려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개의 목에 하트 모양이 그려져 있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이 심장이 왕관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 ...
악어와 거북은 온도따라 성(性)이 결정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 미국의 붉은 바다거북의 경우, 산란지가 북쪽이면 암 수는 대개 같은 비율,
남쪽
이면 90% 이상이 암컷이었다. 더욱이 바다거북류에서는, 부화계절과 산란지의 모래 색깔(햇빛 흡수량이 다르다)이 부화개체의 성비(性比)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이처럼 야외에서도 환경조건이 부화온도를 통하여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6백여마리이지 않습니까. 북쪽 연안에는 워낙 해상교통량도 많아졌으니까 그렇다치고
남쪽
연안도 줄어드는 것이 눈에 보입니다. 그런 와중에서도 둔덕면 근처에서 쇠백로를 19개체 발견한 것은 큰 수확입니다. 김영채선생님이 돌산에서 발견한 쇠백로 40개체와 함께 백로 서식지 연구가 진행됐으면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반면 필자부부는 나무가 많은 것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어쩌면 우리 두사람이, (지구상의)
남쪽
사람들이 바빌론 왕국을 건설하거나 아고라에서 철학을 논하고 있을 적에 보다 북쪽 산림지역에서 원시적 사냥을 했던 조상들의 피를 이어받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먼 옛날의 고향을 찾고 싶은 도시인들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흥미롭게도 남북측의 고원에 나타나는 생물상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남쪽
의 다람쥐는 회색 꼬리를 갖고 있는 반면에 북쪽의 카이밥고원에는 흰꼬리 다람쥐가 서식한다. 과학자들은 협곡으로 인해 오랜동안 격리된 것이 그 원인일 것으로 생각한다.공룡의 화석이 발견되고협곡벽에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탐사결과 거제도 북쪽 해안에서는 갈매기류 이외에 다른 철새를 찾기 힘들었으나
남쪽
해안에는 그런대로 아비를 비롯 쇠뿔논병아리 등 많은 종의 바다철새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칠천도 앞바다에서 근래에 보기 힘들었던 검은목논병아리 1백50여마리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거제도 연안의 우점종은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불구하고 두 별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의 주위를 돌고 있다.쌍둥이자리의 동생별(
남쪽
별) 폴룩스와 사자자리의 으뜸별 레굴루스를 이은 선 중앙에 게자리의 작은 사각형이 보인다. 사각형 안을 자세히 보면 어렴풋이 뿌연 별무리가 보인다. 이것이 바로 프레세페, 혹은 벌집이라고 불리는 ... ...
극한 상황속의 인간한계 실험하는 에베레스트 생리연구현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소문이 나돌고 CNRI는 새로운 장소를 찾아 나섰다. 마침내 네팔 안에 있는 에베레스트의
남쪽
사면으로 최종결정됐다. 네팔어로 '세계의 지붕'을 뜻하는 사가마타(Sagarmatha)국립공원의 심장부에 자리잡게 된 것.이 연구소 건물은 땀의 결실이었다. 수천명의 셰르파(Sherpa, 히말라야 산중에 사는 몽고계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20일 금성에 가장 근접한다.목성-2등급이며 사자자리에 있다. 29일에 충(자정에 정
남쪽
에 보이는 때)이며, 이때 지구까지의 거리는 2백96억6천km다.토성염소자리에 있으며 중순경 새벽하늘에 나타난다. 29일에 금성 곁을 지난다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줄어든다.바다는 산호외에도 또다른 뼈대체물질을 제공해준다. 특히 필리핀 팔라완섬
남쪽
바다에서 서식하는 한 커다란 굴(Pinctada maxima)은 산호에 버금가는 뼈대체물질로 알려져 있다.이 굴의 무게는 10㎏에 이르는데 두꺼운 껍데기가 인간의 뼈를 만드는 골아세포와 비슷하다. 화학적으로는 산호와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