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모습을 나타내지 못한 경우에 위의 성도에서 표시한 방법으로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1월
남쪽
밤하늘1일 : 밤9시15일 : 밤8시30일 : 저녁 7시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 밝은 별자리가 없는 탓인지 동쪽으로 치우친 곳의 오리온자리가 하늘의 반은 차지한 것처럼 웅장한 느낌을 준다. 바로 밑에는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날아 들어 국내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다.황새는 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아무르 계곡,
남쪽
우수리 지방, 만주 중앙부 및 극동지역, 한반도, 중국의 하북성 일본 등지에서 번식해 왔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과 6.25사변으로 인해 시베리아 연해주 남부의 시호테 알린 산맥의 산림과 중국의 동부지방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문학자 카렌 스트롬과 그녀의 동료들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못한 오리온 성운의
남쪽
자리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곳에는 수백개의 새로운 별들이 작은 무리를 지어 있었다. 그 구역에 있는 한 성운에는 10개에서 50개 단위로 뭉쳐진 3천여개의 별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먼지입자로 가득 차 있는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공룡의 역사는 종말을 고한다. 쥐라기 말부터 백악기 초에 걸쳐서는 판게아에서 분열한
남쪽
의 곤드와나(판게아의 한 단계 전 초 대륙인 곤드와나와는 다른 것이다)와 북쪽 로라시아의 연결이 끊어졌다.그와 함께 공룡들은 남북이 각기 다른 동물군으로 나뉘었고 각 그룹이 각 대륙에 격리돼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동쪽에서 뜰 때와 서쪽으로 질 때의 각도는 연직선에 대해서 그 촬영지의 위도 만큼
남쪽
으로 기운다.처음으로 촬영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재미있는 촬영대상으로 북극성 주위의 일주 운동을 들 수 있다. 북극성 부근은 별의 수가 적어 보이지만 별의 움직임이 느린 관계로 어두운 별까지 찍혀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발견된 산개성단의 수는 약 6천 광년 이내의 거리에 있는 4백여개다.그중 여름의
남쪽
하늘의 은하수는 산개성단의 보고이다. 산개 성단의 90%이상이 은하면에 집중되어 있고, 성간물질로 이루어진 산광성운으로 두껍게 쌓여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산개성단은 우리나라에서는 '좀생이별'이라고 부르는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자료와 관측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그림)에서와 같이 이번 수성의 일면 통과는 태양의
남쪽
하단부에서 일어난다. 이 부근은 태양의 흑점이 나타나지 않는 지역이므로 쉽게 수성이 만드는 그림자임을 알아볼 수 있다. 더구나 이것은 흑점에 비해 명암이 더욱 더 뚜렷할 것이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 ...
"공룡은 지구 전역에 퍼져 살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지역의 백악기 공룡들과 확실히 차이점을 나타낸다. 러셀의 설명은 어떻게 공룡족(族)이
남쪽
대륙이 찢어짐에 따라 나누어졌는가를 보여준다. 백악기 세계는 육중한 무게를 지닌 도마뱀발족이 북미 대륙이외의 지역을 지배했다. 도마뱀발족의 화석은 최근 남극대륙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 종류의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불릴 정도로 밀림이 우거져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곳이다. 섬
남쪽
대부분은 인도네시아 땅으로 칼리만탄이라고 부르며 북부는 말레이시아령으로 사라와크주와 사바주로 구성돼 있다. 사라와크주의 구눙물루(구눙은 산을 의미) 지역은 크고 작은 석회동굴 50여개가 자리잡고 있어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관측시간이 맞지 않아 포기했다. 원래 목적은 도시별로 북쪽(북극성) 천정(거문고)
남쪽
(전갈) 등을 동시에 관측해 도시내에서도 어느쪽이 더 광공해가 심한지를 알아보려고 했으나 대부분 관측지가 사방이 다 트인 곳이 드물어 이 기획이 '의욕과잉'임이 드러났다.20여개 대학 아마추어천문서클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