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그 경험으로 수학을 보는 눈이 넓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문제를 풀 때 문제를 그림으로 시각화해 보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구술고사에서도 큰 도움이 됐다.이 씨는 꼭 에너지자원공학과와 관련이 없는 활동이라도 흥미를 느끼는 모든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서울대에 합격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평면인 종이에서도 물체의 크기와 명암을 달리하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이와 같은 그림 기법을 ‘원근법’이라고 해요. 원근법은 한자 ‘멀 원(遠)’과 ‘가까울 근(近)’이 합쳐진 단어예요. ‘원(遠)’은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의 ‘책받침(辶)’에 치렁치렁하게 긴 옷을 뜻하는 ‘원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바뀌었다. 대표적인 곡이 존 레넌의 ‘Eleanor Rigby’와 폴 매카트니의 ‘Love Me Do’다(위 그림). 글리크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이런 방식으로 존 레넌과 폴 매카트니의 노래를 분석한 결과, 그들의 노래에서 149개에 이르는 음악적 특징을 발견했다”며 “노래마다 이들 149개의 ... ...
- 놀이야? 수학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수와북 연구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때 가장 가까이 있는 점끼리 이은 뒤, 모든 선분에 수직이등분선을 그어 평면을 분할한 그림이에요. 수와북 연구소에서는 이 기사의 핵심 수학 내용인 ‘수직이등분선’을 제대로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했어요. 알록달록 초콜릿으로 배우는 수학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동물의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형태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다른 형태로 바뀌는데, 이를 에너지 전환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은 다양한 형태로의 에너지 전환을 나타낸다. 에너지 전환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일어난다. 우리는 충전기를 써서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해 휴대전화의 배터리에 저장하고, 그 에너지로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영상과 손 그림을 촬영하는 단계로 넘어갑니다. 스크립트를 짤 때 이미 구체적으로 어떤 그림을 그릴지, 어떤 영상을 찍을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놓고 작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하는 동안 큰 불편함은 없습니다. 설명 영상을 찍을 때 카메라 렌즈를 쳐다보고 설명하는 것은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키와 몸무게가 늘고 팔다리는 길어진 데 반해 얼굴 크기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위 그림). 키의 경우 2015년 20대 남성은 1979년에 비해 약 6cm 증가해 173.9cm로 나타났고, 20대 여성의 경우 5cm 증가해 160.8cm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머리 수직 길이는 남성이 24.6cm에서 24.2cm로, 여성이 23.3cm에서 22.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푸른빛을 쪼이자, 평온했던 쥐가 전기 자극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공포 반응을 보였다(위 그림 3). 뉴런을 직접 자극함으로써 유아기 때 형성됐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즉, 유아기 기억이 여전히 뇌에 존재하며 다만 회상이 잘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 교수는 “어렸을 때 기억이 뇌에 여전히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처리해 실험실 냄새가 고약한데도 아랑곳 않고, 개구리의 배를 가른 뒤 책 속의 그림과 진지하게 비교해 봅니다. 그러다 몇몇 학생들이 뱃속에서 장기를 꺼내면서 실험실이 시끌시끌해지는데요. 특히 학생들이 놀라워하는 장기는 소장입니다. 얼마나 긴지 뱃속에서 꺼내고, 또 꺼내도 계속해서 ... ...
- [오일러 프로젝트] 스도쿠 해결사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못했구먼.분명 무언가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겠지? 그나저나 마치 퍼즐판처럼 생긴 그림을 보니 ‘스도쿠’가 생각나는군. 스도쿠를 누구보다 빠르게 풀 방법은 없을까? 숫자 퍼즐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게 스도쿠다. 한번 풀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즐길 수 있다. 이런 중독성 때문에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