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같다. 하지만 프로펠러 모양의 터빈이 발전기에 연결돼 있고, 위의 발전기 기본 원리의 그림과는 반대로 바깥쪽에 코일(고정자)이 고정 돼있으며, 내부에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회전자)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터빈을 회전시키면 회전자에 해당하는 자석이 고정자 안에서 회전을 한다. 이때 ...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에 갇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반대예요. 바람이 빠르면 압력이 작아지고, 바람이 느리면 압력이 커지지요. 따라서 그림 속 공은 날아가는 도중에 압력이 작은 위쪽으로 휘어요. 만약 반대로 투수가 공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던진다면 공은 아래쪽으로 휠 거예요. 이처럼 공의 회전을 이용하면 다양한 변화구를 만들 수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참고).하지만 가산동 현장의 경우 앵커링을 하지 못하고 벽 뒤로 보조 벽만 세웠다(40쪽 그림 참고). 결국 벽이 흙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것이다. 백 단장은 “앵커링을 하기 위해서는 앵커를 박아야 할 땅의 소유권이 있어야 한다”며 “땅의 소유권 문제로 앵커링 작업을 하지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키와 몸무게가 늘고 팔다리는 길어진 데 반해 얼굴 크기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위 그림). 키의 경우 2015년 20대 남성은 1979년에 비해 약 6cm 증가해 173.9cm로 나타났고, 20대 여성의 경우 5cm 증가해 160.8cm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머리 수직 길이는 남성이 24.6cm에서 24.2cm로, 여성이 23.3cm에서 22.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푸른빛을 쪼이자, 평온했던 쥐가 전기 자극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공포 반응을 보였다(위 그림 3). 뉴런을 직접 자극함으로써 유아기 때 형성됐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즉, 유아기 기억이 여전히 뇌에 존재하며 다만 회상이 잘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 교수는 “어렸을 때 기억이 뇌에 여전히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처리해 실험실 냄새가 고약한데도 아랑곳 않고, 개구리의 배를 가른 뒤 책 속의 그림과 진지하게 비교해 봅니다. 그러다 몇몇 학생들이 뱃속에서 장기를 꺼내면서 실험실이 시끌시끌해지는데요. 특히 학생들이 놀라워하는 장기는 소장입니다. 얼마나 긴지 뱃속에서 꺼내고, 또 꺼내도 계속해서 ... ...
- [별난 이름정리]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위상적으로 같아 그 모양에 관계없이 오일러 지표는 늘 2가 됩니다.이제 오른쪽 그림처럼 평면의 한 점으로 모든 벡터가 모이는 벡터장을 떠올려 보시지요. 크가 같고 방향이 다른 두 벡터를 합하면 0이 되기 때문에 가마, 혹은 소용돌이처럼 보이는 부분의 벡터 합은 0이 됩니다. 벡터장의 지수는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그 경험으로 수학을 보는 눈이 넓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문제를 풀 때 문제를 그림으로 시각화해 보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구술고사에서도 큰 도움이 됐다.이 씨는 꼭 에너지자원공학과와 관련이 없는 활동이라도 흥미를 느끼는 모든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서울대에 합격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평면인 종이에서도 물체의 크기와 명암을 달리하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이와 같은 그림 기법을 ‘원근법’이라고 해요. 원근법은 한자 ‘멀 원(遠)’과 ‘가까울 근(近)’이 합쳐진 단어예요. ‘원(遠)’은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의 ‘책받침(辶)’에 치렁치렁하게 긴 옷을 뜻하는 ‘원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바뀌었다. 대표적인 곡이 존 레넌의 ‘Eleanor Rigby’와 폴 매카트니의 ‘Love Me Do’다(위 그림). 글리크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이런 방식으로 존 레넌과 폴 매카트니의 노래를 분석한 결과, 그들의 노래에서 149개에 이르는 음악적 특징을 발견했다”며 “노래마다 이들 149개의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