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같다. 하지만 프로펠러 모양의 터빈이 발전기에 연결돼 있고, 위의 발전기 기본 원리의 그림과는 반대로 바깥쪽에 코일(고정자)이 고정 돼있으며, 내부에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회전자)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터빈을 회전시키면 회전자에 해당하는 자석이 고정자 안에서 회전을 한다. 이때 ... ...
- 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런 일이 현대 도시에서도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답니다. 다만, 이번에 새를 속인 건 그림이 아닌 ‘유리창’이지요. 대부분의 건물엔 유리창이 있어요. 유리는 표면이 매끈해서 빛을 잘 반사시켜요. 높은 건물의 유리에 푸른 하늘이 반사되면 마치 유리에 하늘이 담긴 것처럼 보인답니다. 그럼 비행 ...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에 갇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반대예요. 바람이 빠르면 압력이 작아지고, 바람이 느리면 압력이 커지지요. 따라서 그림 속 공은 날아가는 도중에 압력이 작은 위쪽으로 휘어요. 만약 반대로 투수가 공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던진다면 공은 아래쪽으로 휠 거예요. 이처럼 공의 회전을 이용하면 다양한 변화구를 만들 수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참고).하지만 가산동 현장의 경우 앵커링을 하지 못하고 벽 뒤로 보조 벽만 세웠다(40쪽 그림 참고). 결국 벽이 흙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것이다. 백 단장은 “앵커링을 하기 위해서는 앵커를 박아야 할 땅의 소유권이 있어야 한다”며 “땅의 소유권 문제로 앵커링 작업을 하지 ...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이번 새로운 표본에 저소득층이 많이 편입됐다는 점이다(92쪽 그림 2). 이런 관점에서 보면 2018년 상반기의 소득 불평등 악화는 잘못된 조사 때문에 발생한 해프닝이 된다. 쉽게 이야기해, 옛날에 비해 표본이 너무 달라져서 이를 직접 비교해서는 안 되는데, 이를 굳이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열대 바다를 누볐다. ‘세상에서 가장 큰 환초섬’.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축주는 그림 같은 절경이었다. 섬 가장자리를 거대한 고리 모양 산호초가 둘러싸고, 그 바깥으로는 에메랄드 빛 태평양 바다가 잔잔하게 펼쳐졌다. 한참을 넋을 잃고 바라보다 ‘쿵’ 비행기가 거칠게 착륙하고 나서야 ... ...
- [별난 이름정리]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위상적으로 같아 그 모양에 관계없이 오일러 지표는 늘 2가 됩니다.이제 오른쪽 그림처럼 평면의 한 점으로 모든 벡터가 모이는 벡터장을 떠올려 보시지요. 크가 같고 방향이 다른 두 벡터를 합하면 0이 되기 때문에 가마, 혹은 소용돌이처럼 보이는 부분의 벡터 합은 0이 됩니다. 벡터장의 지수는 ... ...
- Intro. 우주군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Space Force All the Way!” 8월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realDonaldTrump)에 남긴 글이다. 두 달 전 트럼프 대통령은 공군에서 우주군(軍)을 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고, 이날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2020년까지 우주군을 창설하겠다고 공표했다. 미국발(發) 우주군 창설이 ‘우주전(戰)’에 대비 ... ...
- [Culture] 정자왕 꿈꾸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올랐지만, 한편에서는 임신이 잘 되지 않는 난임 환자가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난임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14년 20만8005명에서 2016년 21만9110명까지 꾸준히 늘었다.과거에는 여성의 생식기능 문제로 난임이 발생한다는 인식이 있었지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빛이 진공 중에서 1/299 792 458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 . 1983년 제17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정의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길이의 단위 ‘미터(m)’ 의 정의다. 전 세계 표준 과학자들은 값이 일정하고 변하지 않는 기본 물리상수로 단위를 재정의 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오는 11월에는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