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개를 우산 모양으로 만들어 2~3초 간 자세를 유지한다. 그렇게 그늘이 지면 물고기가 그림자 안으로 모여들 뿐만 아니라, 눈부심을 줄여 물고기를 확인하기가 쉬워진다. 검은해오라기는 이 때를 놓치지 않고 길고 뾰족한 부리를 창을 던지듯 물고기의 머리에 재빠르게 꽂는다. 깃털을 먹는 새도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 실력이 각각 15%와 20%씩 좋아졌다. 정 최고운영책임자는 “글을 모르던 아이가 그림을 그리고 스와힐리어로 이름을 쓰는 것을 보면서 가슴이 뭉클했다”고 말했다. 토도수학을 만든 전설의 게임 리니지 제작진토도수학을 내려받아 게임을 해 보면 알겠지만 ‘그저 그런’ 교육용 게임이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것처럼요. 그런데 배아 발달 중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오른쪽 그림). 이 경우 척수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돼 심한 경우 보행 장애, 배변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렇게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생기는 질병은 배아의 선천성 결함 중 꽤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유명한 미술관에는 매일 수많은 사람이 몰려듭니다. 값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귀한 그림과 조각이 가득하기 때문이지요. 미술관은 작품을 도둑 맞지 않기 위해 치밀하게 감시하지만, 이따금 도난 사건이 일어납니다. 사각지대 없이 보안 요원을 배치한다면 도난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요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값이죠. 이 식은 미끄럼 속도를 알 때 점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해 줍니다.오른쪽 그림은 n 값에 따라 점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몇 가지 예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초콜릿은 이 중에 어떤 그래프 유형에 해당할지 생각해보세요. 그동안 저는 초콜릿에 맞는 상수를 찾아오죠.몇 번째 그래프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해하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고 문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복잡한 과정은 그림으로 이해하면 효과적입니다. 머릿속으로 상상할 수도 있고, 손으로 직접 그려보거나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각자 선택하는 방법은 다를 수 있겠지만 배운 내용을 시각화하는 것은 학습 ... ...
- [별난이름 정리]살인마 운전기사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없고 크게 돌아와야 합니다. 만약 도망자가 이 위치에 있었다면, 도망가 버리겠죠.오른쪽 그림은 바로 이런 상황을 나타낸 겁니다. P에서 출발한 살인마의 자동차가 바로 옆에 있는 원 구역에 들어가려면 넓게 한 바퀴 돌아와야 합니다. 즉 이 원이야 말로 도망자에게 안전한 곳이지요. E에서 출발한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양초로 달의 밝기를 측정하다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가장 오래 된 단위는 양초다. 172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피에르 부게르는 표준촉광을 기준으로 달의 밝기를 측정했다. 양초를 뜻하는 ‘캔들(candle)’과 오늘날 광도의 단위로 쓰이는 ‘칸델라’의 이름은 공통적으로 ‘빛나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요시노수케와 마츠무라 히데키가 해결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세 변의 길이가 (135, 352, 377)인 직각삼각형과 (132, 366, 366)인 이등변삼각형은 둘레가 864, 넓이가 23760으로 똑같습니다. 이처럼 직각삼각형과 이등변삼각형의 넓이와 둘레의 길이가 동시에 같으면서 각 변이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이어트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전분저항성’을 가진 빵을, 글루텐민감성 때문에 ‘그림의 빵’이던 사람들에겐 ‘글루텐 프리(free)’ 빵을 골라줄 수 있게 됐다. 빵과 우리의 인연은 꽤 오래 전부터 시작됐다. 기원전 1만7000년 전부터 인간은 밀 종자를 껍질째 씹어 먹기 시작했다. 그러다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