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야인도 담배 피웠다
과학동아
l
201202
마야인도 담배를 피웠다는 증거가 나왔다.미국 알바니대 고고
학과
의 제니퍼 로우밀러-뉴먼 박사팀은 7~9세기의 마야 토기에서 니코틴을 검출했다. 토기 겉에도 ‘담배’라는 문자가 쓰여 있었다. 이렇게 마야 토기에 쓰인 문자와 실제 내용물이 일치하는 경우는 20년 만에 처음이다.토기에 남은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02
시베리아 기단과 제트 기류를 중심으로 삼한사온을 설명해 보자. 이승호 건국대 지리
학과
교수(기후연구소장)는 우리나라의 사계절 가운데 비교적 겨울철의 기후 변화가 가장 규칙적이기 때문에 삼한사온이라는 말이 나온 것이라고 설명한다.“자연 현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기계적이고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02
희망하고 있다. 최저등급을 맞추기 위해서는 수능 성적도 신경써야 한다. 따라서 수
학과
과학은 1등급을 받도록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M학생이 목표로 하는 학교는 수리·과학 논술을 보는 학교이기 때문에 수리·과학 논술도 준비해야 한다.“6월 학력평가가 끝나면 수리논술 준비를 시작하면 좋아. ... ...
도전하는 예비 포스테키안
과학동아
l
201202
변별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입학사정관들은 공부목표는 물론 꿈과 비전이 뚜렷하고 전공
학과
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합니다. 그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깊이 있는 경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 느낀 것으로 본인만의 색깔을 만들어 보세요.” 지난 해 신입생 중 기억에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02
생태계 붕괴 가능성마저 우려하고 나섰다.필립 문데이 호주 제임스쿡대 해양열대생물
학과
교수팀은 애니메이션 ‘니모’로 유명한 흰동가리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 키운 뒤 행태를 관찰해 그 결과를 ‘네이처 기후변화’ 1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현재의 이산화탄소 농도(약 450ppm ... ...
유룡 KAIST 화
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2
순혈(純血)주의가 뿌리 깊던 시절이었다.결국 그는 학부생만 있는 한국과학기술대 화
학과
에 취직했다. 한국과학기술대가 KAIST(당시에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와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에 기대를 걸었다. 3년 동안 학생들만 가르치며 연구에서 손을 떼고 있던 유 교com수는 1989년 두 기관이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02
연구하는 학문이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학문이 다루는 영역이 많기 때문에 수
학과
과학은 물론 인문·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건설환경공학의 여러 분야 중 적성에 맞는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 매력도 있다. 특히 국민의 풍요와 안위를 우선시하는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01
밝히고 있다. 인류가 이주하면 전염병도 따라온다. 딘 스노우 미국 뉴욕주립대 인류
학과
교수가 1995년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634년 미국에 유행한 천연두 때문에 북아메리카 북동쪽에 살던 토착민 모호크 족의 인구는 7700명에서 1700명으로 80% 가까이 줄어들었다. 전염병에 의한 ... ...
물고기,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01
’로, 육지에서 숨을 쉬는 물고기인 ‘폐어’의 한 종류다. 최근 미국 시카고대 생물
학과
의 히더 킹 교수팀이 이 물고기의 행동을 수조에서 관찰한 결과, 물고기가 뒷지느러미를 이용해 수조를 가로지르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뒷지느러미 두 개를 번갈아가며 이용하는데, 이 모습이 마치 사람이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01
막기 위한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마이크 데이비스 UC어바인 역사
학과
교수는 ‘슬럼, 지구를 뒤엎다’에서 “미래 세계 인구 증가분의 4분의 3을 짊어질 곳은 작은 규모의 도시”라며 “이런 사람들을 수용하거나 그들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계획은 거의 혹은 전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