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03
않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그레타 베가 미국 스토니브룩대 생태진화
학과
교수팀은 전체 물고기의 96%를 차지하는 조기어류(다랑어 등이 속한 어류군)의 개체수와 분포 변화를 조사했다. 그 뒤 바다와 민물 생태계로 구분해 이 종들이 각각 얼마나 빨리 번식하고 멸종하는지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03
가장 효과적인 스펙은 바로 모의고사 성적표와 내신성적이라고 생각했다.“목표로 잡은
학과
의 평균 점수대 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받는다면 그 자체로 스펙이 될 것 같았어요. 1학년 때 올림피아드 준비를 마친 후 공부에 매달렸습니다.”내신을 준비하는 기간은 1달, 모의고사는 2주를 준비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03
생쥐 배아줄기세포, 난치병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다• 기사: 1981년, 케임브리지대 유전
학과
마틴 에번스 교수는 생쥐의 초기 배아에서 분리한 ICM을 배양함으로써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에번스 교수는 암덩어리의 일종인 배아암종을 연구하던 중 배반포라고 부르는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03
사람이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정보이론을 바탕으로 판단한다.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수
학과
체스는 입력신호의 조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쉬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를 통해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잘하는 패턴 인식은 입력 신호가 너무 복잡해서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시작한 계기도 바로 여기에 있다.구겨진 종이 속에 산이 숨어 있다당시 시카고대 물리
학과
박사과정 학생인 알렉스 롭코브스키는 박사논문으로 특별한 주제를 선택했다. 그것이 ‘구겨진 종이의 물리학’이다. 그는 지도교수인 토마스 위튼을 비롯해 동료들과 함께 구겨지는 현상에 보편적인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우주 쓰레기나 인공위성을 추적하는 데에도 천문학이 쓰여요. 박석재서울대학교 천문
학과
를 졸업 후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가 되었어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으로 일했지요. 블로그 dr_blackhole.blog.me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어요.신령으로 과학을 친숙하게블랙홀 ... ...
동료 살리는 침팬지 위험 신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사람처럼 남의 처지를 이해한대요. 영국 세인트앤드 루스대학교 심리
학과
캐서린 크록포트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침팬지는 동료가 위험할수록 위험 신호를 더 많이 보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크록포트 교수팀은 2008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우간다 부동고 숲의 ...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말할 정도는 돼요. 우리도 원숭이만큼 숫자를 세거든요.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의 심리
학과
연구팀은 우리 비둘기가 숫자를 셀 수 있는지 실험했어요. 한 개에서 네개까지 도형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 주고, 도형이 그려진 개수대로 카드를 정렬하도록 교육시켰죠. 예를 들어 도형 한 개는 두 개보다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02
나오도록 컴퓨터가 알아서 보여 주는 검색엔진을 만들어 야후를 제쳤다.정하웅 KAIST 물리
학과
교수는 작년 10월 26일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 전날, 구글의 검색 원리를 이용해 선거 결과를 예측했다.박원순 후보와 나경원 후보를 구글에서 검색해 각각의 웹페이지 수를 뽑은 결과가 실제 득표율과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02
특히 짧은 감마선폭발은 후광 데이터가 별로 없어 아직 불확실한 점이 많다. 부산대 물리
학과
이창환 교수는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감마선폭발을 두 타입으로 분류하는 데도 동의하지 않고 있다”며 “초기에는 같은 메커니즘으로 시작했다가 중간에 다른 경로를 밟아 이런 패턴이 나왔다고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