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감소한 엔트로피를 웃도는 엔트로피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우주의 팽창은 별이나
은하
같은 비균질한 덩어리를 만들어낸다. 아울러 이 덩어리가 내는 열이 저온이 된 주위(팽창에 따른 냉각으로 인해)로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해 엔트로피의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01
속도가 팔에서 갑자기 줄어들어 물질이 그곳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팔을 가진 나선형
은하
이렇게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면 물질이 모여 성운을 이루게 된다. 성운은 자신의 중력때문에 수축을 시작해 그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 자체 중력에 의한 수축은 성운이 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01
대폭발이 일어났다면 2월초에는 최초의 항성과
은하
가 탄생했고 4월에는 태양계가 속한
은하
계가 모습을 드러냈다. 9월 9일에 이르러서야 태양계가 형성됐고 그로부터 며칠 후에 지구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10월 초순에 최초의 생명(원핵생물)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11월 중순에는 광합성을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01
주반사경이 직접 카메라렌즈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혜성의 확대상이나 어두운 성운
은하
등을 찍는 것을 말한다.마지막으로 확대투영 방식으로, 이는 망원경의 아미피스(접안렌즈)를 통해 확대된 상을 필름면에 투영하여 달표면의 확대사진이나 행성표면, 이중성을 촬영하는 방법이다.고정촬영으로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
과학동아
l
199101
속도를 광속이라 할 때 도달하지 못하는 지점은 '우주의 지평선'이 된다. 그곳에 있는
은하
는 우리로부터 광속으로 후퇴하고 있어야 한다. 아기 우주의 탄생인플레이션은 현재 우주론의 표준 모델에서 우주가 시작된 지 1초 이내에 일어나야 한다. 일본의 사토와 동료들은 이 인플레이션을 이용하여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01
지구 이외의 별에서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리브는 믿고 있다.
은하
계 내에 존재하는 수천억개의 별중에서 수십억개가 태양과 비슷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들 중에 많은 수가 유성의 행렬을 갖고 있는데 이 행렬내에 어떤 행성이 자신의 항성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있고 물이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12
쏴 올린 천체망원경의 이름은 허블망원경이다. 이 명칭은 윌슨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은하
밖의 별구름을 연구했던 저명한 천문가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는 멀리 떨어진 별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계속해서 우주가 부풀고 있다는 증거를 포착한 셈이다. 이는 팽창하는 ... ...
인정하기엔 너무 약한 「제5의 힘」
과학동아
l
199011
주장이었다.이후 몇몇 과학자들은 이 힘이 초기 우주에서 물질의 합성을 이끌어 내
은하
나 성단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했다. 우주생성의 비밀을 제 5의 힘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한 것이다.피슈바하 박사의 첫 발표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이 힘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워싱턴 대학의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10
상대성이론에서 팽창우주모델을 끌어냈다. 1929년 에드윈 허블은 대형망원경을 사용해
은하
가 점점 멀어져가고 있는 것을 관찰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대성이론은 이로써 권위를 확보했다. 대폭발이론으로 비약1948년에 우주론에는 대혁명이 일어난다.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09
X선을 내는 연성의 한 쪽이 검은 구멍일 확률이 크다. 그러나 확률은 확률일 뿐이다.우리
은하
중심부의 활동으로 미루어 보아 1만년 내지 10만년 전에 엄청난 폭발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사건이 퀘이사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앞으로 진행 될 더욱 심도있는 연구의 결과가 기대된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