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05
은하
를 찾아내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는 백조자리의 Cyg A라는 강력한 전파
은하
의 수소 적외선 분광선 중에서 그간 먼지로 인해 관측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대규모의 가스운동을 찾아낸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 가스운동은 강력한 준항성(Quasar)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민족과학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05
우주의 나이에 관한 보다 정확한 수치가 제시됨으로써 우리는 보다 정확하게 어떻게
은하
계가 형성되고 뭉쳐졌는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따라서 지난 1987년의 초신성은 천문학자들에게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기막힌 보너스를 제공한 셈이다.Back in 1987, there was a gigantic supernova in the Large Mage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05
분해해 보려면 장초점의 반사나 굴절(f/6~f/12)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희미한 혜성 성단
은하
들과 성운 등은 일반적으로 낮은 배율과 넓은 시야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상력이 조금 뒤져도 되는데, 이런 천체들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f/6이하의 단초점 반사망원경이 가장 좋다.만약 특별한 관심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04
그러나 이
은하
의 나선 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천문대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이
은하
까지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1천8백광년이다. 고유운동(proper motion)항성은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나 그것은 거리가 멀기 때문이며 실제에 있어서는 그 자신의 공간운동으로 인해 위치가 약간씩 변한다.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
여행
과학동아
l
199104
거대함이 두드러져 매우 인상적이다. 또 바로 아래는 오메가성단으로 알려진 우리
은하
최대의 구상성단이 있다. 이는 가장 멋있는 관측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서울 근교에서는 불가능하다. M81과 M82의 한쌍에 비교할 만한
은하
가 사자자리 세타성 아래에 있는 M65와 M66이다. 이 둘은 1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04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와같은 사실을 놓고, 어떤 이들은 UFO가 저멀리 다른
은하
계에서 오기도 하지만 화성 금성 토성 등 여기저기에서 떼지어 몰려오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우주 생물학자들은 이러한 사고는 터무니 없다고 일축한다.칼 세이건은 그의 저서 ... ...
지상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의 전쟁
과학동아
l
199104
케크천문대. 아직 완성은 안됐지만 이 천문대에서 찍은 최초의 사진이 공개됐다. NGC1232
은하
를 촬영한 것으로 빛의 세기를 강조해 색감으로 강약을 처리했다. 망원경은 대기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곳에 설치할수록, 또한 직경이 크면 클수록 어두운 천체를 잘 살필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04
격렬하기까지하다. 이번에 발견된 두번째 아인슈타인 고리와 관련하여 중재역할을 맡은
은하
의 질량은 그 속의 보이는 별들 질량의 8~16배쯤 되는 듯 하다. 이는 실제적인 증명은 되지못하지만 사라진 질량을 주장하는 편을 거드는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A team of astronomers from the National Radio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03
말했다. 또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가 조지 앨콕도 자신의 쌍안경만으로 5개의 신성을
은하
면에서 발견했다. "그는 어떻게 발견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단순히 인내였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몇지역을 자기 집의 뒷마당처럼 자세히 알고 있다고 했다.변광성 관측/수천개까지 가능몇몇 ... ...
천체사진 촬영법 ㉻ 피지백
과학동아
l
199102
느껴질 뿐이다. 그래서 고리 성운(M57)이나 아령 성운(M27), 또는 보다 작고 희미한
은하
들과 구상성단들을 찍을 수 없다. 그리고 달과 행성들의 확대사진 역시 적합하지 않다. 행성들은 밝은 별처럼, 달은 매우 밝은 빛의 점으로만 찍혀진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천체들과 유명한 대상들은 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