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
골프
뉴스
"
충전
"(으)로 총 1,02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에너지 직업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4.12.09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도로를 달리면서 무선
충전
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다. 기존의
충전
식 전기자동차에 비했을 때 운행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려 미래형 전기자동차의 새로운 모델이 됐다. 12월 29~30일(월~화, 1박2일) 시화호조력발전소, 국가핵융합연구소, KAIST,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진행될 ... ...
[제주]“제주를 전기車 허브로”…
동아일보
l
2014.11.19
참여한다. 김대환 조직위원장은 “전기자동차 엑스포는 전기자동차 테스트베드,
충전
인프라 등을 구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앞으로도 매년 제주에서 개최될 엑스포가 국제 전기차산업 발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3월 열린 제1회 국제전기차엑스포는 행사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그대로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스마트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면 자체
충전
이 가능한 전원으로 쓰일 수 있을 전망이다. 정현석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이상욱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박사팀과 공동으로 얇고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 ... ...
“터치다운! 새 주소는 혜성 67P”
동아일보
l
2014.11.14
덧붙였다. 필래는 2, 3일 자체 에너지로 작동하다 이후에는 몸체를 둘러싼 태양전지판에
충전
된 에너지를 쓰면서 최소 3개월가량 탐사작업을 벌이게 된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함께 탄생한 혜성의 생생한 지표면 사진을 촬영해 전송하면서 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혜성의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것은 물론 12분 만에 배터리가 완벽하게
충전
됐다. 또 연구진은 이 배터리를 수천 번 재
충전
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엘레노어 질레트 메릴랜드대 화학및생화학과 연구원은 “이 나노 배터리는 모두 균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기와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는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
지 나왔다
2014.11.06
저장 소재를 개발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용량이 크면서도 수명이 반영구적인 ‘
충전
지’를 개발했다. 강정구 KAIST EEWS 대학원 교수팀은 기존 이차전지보다 에너지를 2.5배 더 저장하면서도 충·방전을 반영구적으로 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 ...
北 잠수함 미사일을 두려워 해야 하는 까닭
2014.11.03
어렵지만 수일 이상 바닷속에서 얼굴을 내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바닷속에서는
충전
한 배터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소음도 거의 없는데다 연료 보충 없이 아시아태평양 일대는 무리 없이 운행할 수 있다. 군 전문가들은 북한이 짧은 시간 안에 골프급 잠수함의 건조를 마칠 것으로 보고 있다. ... ...
청바지 염료가 이차전지 물질로 변신
2014.10.15
이용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진행됐다. 하지만 나트륨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전지보다
충전
용량과 출력이 낮다는 것이 단점으로 꼽혔다. 크기가 큰 나트륨 이온을 저장하기에 적당한 물질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프러시안 블루 계열 물질 속에 나트륨 이온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분리막으로 이뤄져 있는데, 생산 공정에서 작은 금속 입자나 이물질이 들어가면
충전
하는 동안 양극에 리튬이온이 가시처럼 쌓인다. 이 ‘리튬 가시’가 자라서 분리막을 뚫고 음극에 닿으면서 불이 붙었다.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왼쪽)과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스마트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0.06mA(밀리암페어)의 전기가 생산됐다. 이런 띠를 200개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한 시간 안에
충전
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프로펠러나 발전기 없이도 바람을 이용해 손쉽게 전기를 만들 수 있다”며 “발전효율을 개선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