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
골프
뉴스
"
충전
"(으)로 총 1,02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으로
충전
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올해 무선
충전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각 산업 분야에서 무선
충전
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될지, 또 어떤 기술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지는 올해가 지나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9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KAIST 임춘택 교수팀, IEEE 최우수 논문상 첫 수상
2015.08.25
방법(Generalized Active EMF Cancel Methods for Wireless Electric Vehicles)’으로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
상용화에 걸림돌이었던 자장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임 교수팀은 KAIST가 개발한 ‘온라인 무선전기차(OLEV)’ 개발에 참여했다. 이번 최우수 논문상은 지난해 국제전기전자공학회 ... ...
충전
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실제 전기자동차에 적용할 경우는
충전
용량과 출력의 차이를 고려해 최소 두 배 이상의
충전
속도를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100회 이상 충·방전을 반복했을 때 전지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을 정도로 안정적이어서 배터리 수명도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안 연구원은 “전기전도도가 낮아 외면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전화에서 흔히 사용하는 재
충전
이 가능한 2차 전지다. 이상영 울산과기대(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다양한 표면 위에 얇게 입힐 수 있을 뿐 아니라 휘어지는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양극과 음극, 그리고 그 사이의 ... ...
화학전지+태양광=하이브리드 전지
2015.08.03
우 교수는 “현재 전지를 생산하는 기술에 적용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
충전
할 때 태양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고 전력망 수준의 대규모 에너지 저장에도 적용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배상민 KAIST 교수 ‘레드닷어워드’ 대상 수상
2015.07.28
온도차로 발전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식 휴대용 램프 및 스마트 디바이스
충전
기 ‘스노우 에너지’도 각각 본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9월 25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배상민 KAIST 교수팀이 디자인한 모듈형 이동식 컨테이너 스마트 교실 ‘박스쿨(BOXCHOOL)’. - KAIST 제공 ... ...
배터리
충전
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이뤄진 구조다. 이 막을 배터리용 분리막으로 사용해본 결과 배터리 출력은 2.5배,
충전
속도는 3배, 수명은 4배로 높아졌다. 박 교수는 “블록공중합체로 제작한 이중 다공성 막을 에너지 저장장치 분야에 활용해본 것은 처음”이라며 “크고 작은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전지뿐 아니라 정수 ...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
2015.07.10
조언은 기본 닷의 멘토는 최진 루트아이템 대표다. 최 대표는 국내 최초로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 개발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그는 창조경제타운의 요청을 받고 흔쾌히 닷의 멘토를 맡았다. 개인 시간을 쪼개 닷 기술진과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그는 모터 등 복잡한 액추에이터(구동 장치 ... ...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등에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수소를
충전
해 주는
충전
소가 필요한데, 기존 기술로는 수소 생산을 위해 작은 건물 크기의 수조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값비싼 귀금속인 이리듐과 루테늄을 촉매로 쓰기 때문에 값싸고 성능이 좋으면서 수조 크기를 줄일 수 있는 ... ...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무선
충전
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충전
거리와 방향 의존성을 상당부분 해결했다”면서 “
충전
에 대한 걱정 없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지난달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전자 저널(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에 게재했으며, KAIST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