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월 22일자에는 화산폭발이 공룡 멸종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을지 짐작하는 데 단서가 될 수 있는 논문 두 편이 동시에 실렸다. 두 논문은 각기 다른 연구팀이 작성했지만, 흥미롭게도 모두 데칸 ... ...
질긴 바닷가재 배 보호막으로 고무 만들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막이 여러 층을 이룬 합판구조여서 고무처럼 신축성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
학술
지 ‘액타 바이오머티리알리아(Acta biomaterialia)’ 1월 31일자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분의 90%가 물인 미국 로브스터의 막 조직을 분석한 결과, 다른 종보다 신축성이 높고 ... ...
[과학뉴스] 이산화탄소, 석탄으로 되돌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고체 탄소 입자로 전환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월 26일자에 게재했다.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기술(CCS)은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체로 압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액체로 압축해 저장하더라도 지하 ... ...
[과학뉴스]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교수팀은 스스로 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재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구리가 첨가된 황화아연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다. 이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2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선정위원들은 “파워피플 선정이 업적 중심의 기존
학술
상과 차별화한 참신한 시도”라면서도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파워피플을 선정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이향숙 교수는 “파워의 세 기준 중 하나인 ‘정책 결정의 파급력’이 단순히 직위나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개발해 개의 대퇴부에 있는 말초신경의 신호를 고해상도로 측정하는데 성공해 2017년 국제
학술
지 ‘신경공학저널’에 발표했다. doi:10.1088/1741-2552/aa7493김 교수는 “말초신경에서 나오는 신호는 근육이 움직일 때 나오는 신호와 겹치는 만큼 말초신경 신호를 온전하게 얻는 게 쉽지 않다”며 “근육이 ... ...
음악 들으며 공부하면 창의력 떨어져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흔히 음악을 들으며 공부나 작업을 하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지고 능률이 향상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 수행 능력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심리분석 분야 국제
학술
지 ‘응용인지심리
학술
지’ 2월 2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02/acp.353 ... ...
[포토뉴스] 쌍곡면으로 바다 민달팽이처럼 움직이는 로봇 만든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수 있는 기하학적 특징을 발견했다고 2019년 3월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미국물리학회
학술
대회에서 밝혔습니다.벤카타라마니 교수팀은 프릴 형태의 표면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매끄럽지 않은 얇은 필름을 모형으로 만들어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프릴 표면은 특정 ... ...
이상엽|국제
학술
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있는 시간이 2시간밖에 되지 않는 날도 있지만, 적어도 그가 편집에 관여하고 있는 국제
학술
지에서는 한국 과학자들을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있기에 그는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과학자 400명으로부터 ‘파워피플’로 지지를 받은 이유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했다. 논문은 ... ...
[과학뉴스] 파리가 얼룩말 줄무늬 보고 도망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만큼 줄무늬가 얼룩말의 생존률을 높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2월 20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one.021083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