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줄인 뒤 컴퓨터로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
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미국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9년 4월 18일 방영한 빅뱅이론 274화에 증명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수학 교육에 관한 정보도 나눌 수 있게 하고요. 국내외 뛰어난 논문을 모아 국제
학술
지도 발간합니다.2. 임기 기간인 2년 동안 어떤 일에 집중하실 계획인가요?수학은 수와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자연현상이나 사물을 연구하기 ... ...
[수학뉴스] 항공기 실종 사건 수학이 해결할까?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이 방법으로 바다에 잠겨있을 비행기를 찾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카오스’ 4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복구하도록 돕는 ‘펠리노(Pellino)1’ 단백질의 작동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5일자에 발표했다.그간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금껏 발견된 인류 종과 다른 새로운 종인 ‘호모 루조넨시스(Homo luzonensis)’라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07년 유골을 발견한 지층을 추가로 조사해 아이를 포함해 최소 세 명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손과 발의 뼈 등 화석 총 12점을 발굴했다. 방사성동위원소 연대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공동연구팀은 특수한 지질과 물을 합성해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일자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 ...
[수동TV] 수학 셔플쇼 더 사제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석학과 협업하고 프로젝트를 선두에서 이끄는 점이나 여성 수학자 최초로 대한수학회
학술
상을 받은 점을 들며 새로 수학계에 진입하는 여성들에게 역할 모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로에게 공을 미루기 바쁜 두 수학자는 ‘KTX를 타고 가면서 봐도’ 한국 수학계의 여성 선구자 사제간이 분명해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결과 스콧의 텔로미어가 길어져 형에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μm는 100만분의 1m) 수준의 고성능 전기저장장치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중심 항성을 공전하고 있는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로 이름 붙였다고 국제
학술
지 ‘천문학 저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케플러 행성계의 중심 항성은 약 35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심 항성은 태양과 질량이 비슷하며, 나머지 항성은 크기가 태양의 3분의 1이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