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정자 꼬리의 비밀 수학자가 풀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최근 영국 수학자들이 그 비밀을 밝힌 연구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인터페이스
학술
지’ 3월 20일자에 발표했습니다.영국 요크대학교와 옥스퍼드대학교의 수학자인 에르메스 가델하와 이몬 개프니는 인간 정자가 수정에 성공할 수 있는 비밀이 꼬리를 감싸는 외층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 ...
[수동TV] 수학 셔플쇼 더 사제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석학과 협업하고 프로젝트를 선두에서 이끄는 점이나 여성 수학자 최초로 대한수학회
학술
상을 받은 점을 들며 새로 수학계에 진입하는 여성들에게 역할 모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로에게 공을 미루기 바쁜 두 수학자는 ‘KTX를 타고 가면서 봐도’ 한국 수학계의 여성 선구자 사제간이 분명해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복구하도록 돕는 ‘펠리노(Pellino)1’ 단백질의 작동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5일자에 발표했다.그간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결과 스콧의 텔로미어가 길어져 형에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공동연구팀은 특수한 지질과 물을 합성해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일자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과학동아 등 과학잡지를 통해 최근 과학 이슈를 접하고 이를 주제로 토론하는 과학탐구
학술
동아리다. 3월에는 과학동아에서 타미플루에 관한 기사를 읽고 타미플루의 원리와 다른 나라에서 금지한 의약품을 주제로 토론했다. 4월에는 주기율표 150주년을 기념하는 기사를 읽은 뒤 기존 주기율표를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금껏 발견된 인류 종과 다른 새로운 종인 ‘호모 루조넨시스(Homo luzonensis)’라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07년 유골을 발견한 지층을 추가로 조사해 아이를 포함해 최소 세 명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손과 발의 뼈 등 화석 총 12점을 발굴했다. 방사성동위원소 연대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중심 항성을 공전하고 있는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로 이름 붙였다고 국제
학술
지 ‘천문학 저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케플러 행성계의 중심 항성은 약 35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심 항성은 태양과 질량이 비슷하며, 나머지 항성은 크기가 태양의 3분의 1이다.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말하는 울렌백 교수는 당당하게 여성 수학자로서의 길을 개척했고, 그 길에
학술
적 업적으로 커다란 영광을 줬다. 또한 많은 동료 수학자들과 후학들에게 영감과 위로를 주는 천재적 재능의 수학자다. 아벨상 수상에 울렌백 교수만큼 잘 어울리는 사람도 흔치 않으리라 생각한다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교수팀은 대기 성분에 따라 강수입자의 성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017년 6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증기가 과포화된 대기 상태에서 유기 계면활성제 성분의 에어로졸이 많아지면 물의 표면장력이 감소하면서 응결핵의 농도가 급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