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iPS)를 개발한 공로로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iPS 세포
연구소
장은 2009년에 기초의학 부문 래스커상을 받았다. 2019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세 명도 모두 래스커상을 받은 바 있다. 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따르면 울프상 수상자가 나오기 시작한 197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많은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그리곤 결국 2012년에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교수와 함께 크리스퍼-캐스9을 유전자 가위로 활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왜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의 DNA를 저장할까’ ‘왜 기존 유전자 가위는 상용화되기 어려울까’ 등 그는 ‘왜?’라는 질문을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다. 유산균의 생존력이 중요한 이유다.안희윤 CJ제일제당 식품
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균주의 종류와 배양 온도, 습도에 따라 유산균의 생존력이 달라진다”며 “같은 유산균이라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보다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060년에는 외계행성의 표면을 직접 볼 수 있을 거예요!”슬라바 투리셰프(NASA 제트추진
연구소
연구원) Q. 태양 중력렌즈 망원경은 어떻게 설치할 계획인가요?태양에서 550AU는 정말 먼 거리예요. 우리는 무게가 100kg이 안 되는 소형 위성 여러 대를 발사하려 해요. 이 위성들은 태양광 돛을 이용해서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분포를 나타낸 지도예요.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4월 2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달·행성
연구소
(LPI)와 공동으로 제작한 달 표면 지질 지도를 공개했어요. 달 표면 전체의 지질 정보를 하나의 지도로 나타낸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 공동연구팀은 아폴로 계획에서 6번의 달 착륙을 통해 그린 달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고체 구조에 대한 이해가 완전히 뒤집힌다. 셰흐트만 교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
연구소
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일하던 중 알루미늄 합금 결정에서 이상한 원자 배열을 발견한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회절무늬’가 5회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회절무늬는 원자나 분자의 배열을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식단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아이케 라츠 독일 본대 선천성면역
연구소
교수팀은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체내 염증 반응이 활발해진다는 연구결과를 2018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16/j.cell.2017.12.013연구팀은 지방 함량이 21.2%, 단백질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인턴을 하면서 발상의 씨앗을 키웠어요!”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NASA 제트추진
연구소
로봇 공학자) Q. 달 뒷면에 전파망원경을 세우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지구에서는 파장이 10m가 넘는 우주 전파를 측정할 수 없어요. 이 전파들은 지구 대기의 이온층에서 반사되어 지표에는 도달하지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정도를 더 버틸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토마스 라센 막스플랑크
연구소
연구원은 “빗해파리가 새끼를 먹는 것은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제시한 문제 중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도 있었죠. 2000년에는 미국 클레이수학
연구소
에서 21세기 사회에 크게 공헌할 밀레니엄 문제 7개를 선정해 각각 100만 달러(약 11억 6000만 원)의 상금을 걸었습니다. 여러 수학자를 괴롭혀 악마의 문제라고도 불리는 ‘리만 가설’은 힐베르트의 23문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