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존과학] 과학 기술로 문화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문화재의 매력!"_정선화(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사)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볼 기회가 있었어요. 책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이순신 장군은 필체가 굉장히 정갈한데, 특정 페이지에서는 필체가 흘리듯이 써내려간 부분들이 있어요. 모두 한자로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지난 6월 20일을 시작으로 연구자와 시민과학자가 함께 과학적 질문을 찾아나가는 ‘시민과학풀씨’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어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어떻게 탐사하며 지내고 있을까요? 10개의 프로젝트들 중에서 ‘인간의 활동에 의한 무당개구리의 기형 정도 조사’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성공해 1945년 8월 일본에 떨어뜨리고 말았지요.이 원자 폭탄의 실험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서 차로 4시간 정도 떨어진 사막에서 1945년 7월에 처음 이뤄졌어요. 이곳의 이름은 실험의 암호명 ‘트리니티’에서 이름을 따온 ‘트리니티 사이트’지요. 트리니티 사이트는 매년 4월과 10월 첫 번째 ... ...
- [과학뉴스] 태평양 살던 플랑크톤이 북극해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월 4일,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북극해에서 주로 따뜻한 태평양에서 사는 동물성 플랑크톤 ‘유칼라누스 번지(Eucalanus bungii)’를 대량으로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발견된 개체수는 1m3당 평균 843마리로 북극해에서 발견된 양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죠. 연구팀은 2014~2016년 사이 북극해를 항해하며 여름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곳은 중국지질과학대학교의 리다 싱 교수와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연구소 징마이 오코너 교수팀이에요. 그들은 미얀마에서 채굴된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초기의 호박에 든 두개골을 찾았어요. 겨우 1.4cm 정도로 벌새보다 더 작았죠. 연구팀은 부리를 닮은 뾰족한 주둥이와 원시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곳에 기피제를 뿌려 대벌레가 오지 않도록 방역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답니다.우리곤충연구소 정부희 소장은 “나무는 1차 생산자로, 곤충이 나무를 먹는 건 당연하다”면서 “대벌레는 해충이 아니다”라고 말했어요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동물인 셈이에요.스터들피시는 과학자들의 실수로 탄생했어요. 헝가리 수산양식연구소 아틸라 모자르 박사 연구팀은 멸종 위기에 처한 러시아 철갑상어와 미국 주걱철갑상어를 번식시키기 위해 ‘난자단독발생’ 연구를 하고 있었어요. 난자단독발생은 난자와 정자가 합쳐지지 않고, 정자의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엄청난 비밀이 숨어 있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어요. 지난 6월, 일본 오키나와추라시마연구소 연구팀이 고래상어의 눈에 이빨 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거예요. 연구팀은 죽은 고래상어의 눈을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촬영한 뒤 이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홍채* 주변에 약 ... ...
- 대벌레 떼의 등장! 다 이유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이곳은 서울 은평구 봉산 해맞이공원입니다. 해발 209m의 낮은 산으로 은평구민이 자주 찾는 산책로인데요. 7월 초부터 이곳 해맞이공원에 등장한 대벌레떼로 인해 주민들이 ... 환경농업연구과 유기농업팀장),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정부희(우리곤충연구소 소장),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알고리즘은 흑인보다 백인의 얼굴을 더 잘 인식할 거예요. 2019년 12월 미국 표준기술연구소에서 얼굴인식 알고리즘 189개를 분석해 보니, 실제로 유색인종의 얼굴을 인식할 때 오류가 날 확률이 백인보다 100배나 높았지요.그뿐만 아니에요. 얼굴인식 알고리즘에 쓰이는 범죄자 얼굴 자료에 흑인의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