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기후변화 때문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러브 달렌 스웨덴 고생물유전학
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시베리아 북동쪽에서 발굴한 털코뿔소의 뼈와 조직 등에서 1개의 온전한 유전체와 14개의 미토콘트리아 유전체를 추출했다. 연구팀은 유전체에서 이형 접합성(양쪽 ... ...
[나의 독일유학일기] 국경 넘나드는 유럽의 인턴십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CERN) 인턴십이다. 과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유명한
연구소
로,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있는 곳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유럽 국가 시민권이 지원조건 중 하나라서 지원하지 못했다.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이곳에서 일해보고 싶다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빨리 남쪽으로 이동해 급격히 녹았고 7월 30일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게 확인됐다. 극지
연구소
는 해빙이 붕괴할 가능성이 파악된 이 시기부터 위성을 이용해 폴라스턴호를 옮길 만한 안전한 해빙 후보지를 찾고 있다. 8월 10일 현재 폴라스턴호는 마지막 임무인 늦여름의 해빙 재결빙 현상을 관측하기 ... ...
[극지 위성 탐사] 우주적 스케일로 극지를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극지는 과학이 아직 명확히 밝히지 못한, 지구상에 몇 안 되는 미지의 영역이다. 변덕스러운 태양 활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이자, 독특한 기후와 생태계가 날 것 그대로 보존된 신비로운 곳이기도 하다. 이런 극지를 우주적 스케일로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극지의 사계절과 거대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주기적으로 확보한 영상이 필요하다. 아라온호가 탐사지에 가까워지면 한국에 있는 극지
연구소
의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바빠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로부터 아라온호의 예상 항로를 촬영한 영상을 거의 매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영상을 토대로 아라온호가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바뀔 정도로 이동하기도 해요. 최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
의 공동 연구팀이 약 9000만 년 전 남극이 우림 지대였다는 증거를 찾았어요.연구팀은 지난 2017년 2월, 해저 드릴 장비를 이용해 서남극의 아문센해 바닥에 쌓인 9300~83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물을 ... ...
펭수의 인기 비결은 5가지 놀이 구조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019년 하반기, 무섭게 치고 올라온 펭수의 인기 비결을 파헤치기 위해 캐릭터 성격
연구소
에 잠입한 미래 탐정입니다. 흔히 펭수의 인기 비결을 할 말 다 하는 성격이라고 말하는데요, 실제로 그런지 알아보겠습니다. 펭수의 인기 비결을 설명하기 위해 김정섭 성신여대 문화산업예술대학원 교수는 2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9월 북극 해빙은 꾸준히 줄어들었다.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
연구소
(JPL)가 운영하는 ‘지구 기후 변화: 행성의 바이털 사인(Global Climate Change: Vital Signs of the Planet)’ 사이트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1979년부터 매년 9월 북극 해빙 면적은 감소했다. 1981~20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남극장보고과학기지 근처에도 우리나라가 관리하는 두 번째 펭귄 마을이 생긴다. 극지
연구소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두 펭귄 마을을 비롯한 남극 전역의 펭귄 군락을 우주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펭귄의 붉은색 배설물을 찾아서펭귄 서식지에는 특별한 흔적이 있다. 바로 붉은색 배설물이다.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자원까지, 인공위성을 활용할 수 있는 극지 연구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그래서일까. 극지
연구소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에는 유난히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모여 있다. 이들이 극지에서 느낀 매력과 앞으로 극지에서 이루고자 하는 꿈을 들었다. ■ 김현철 북극해빙예측사업단장(해양학 전공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