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회에 걸쳐 소개한 ‘두 번 받아올림, 받아내림’ 시리즈가 드디어 끝이 났어요. 서울교대 초등수학 연구팀에 따르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잘 하는 비법은 ‘수 모으고 가르기’ 활동이에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많은 친구가 왼쪽 뺄셈이 더 쉽다고 생각할 거예요.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도국은 식량 생산이 일차 목표이기 때문에 개발을 우선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이창석 교수는 “생태계를 복원해야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생태계를 정확히 진단해 훼손되기 전의 모습을 재현한 뒤, 생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 도움김하영(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강명주(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이동헌(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 김태수(네오사피엔스 대표), 이재윤((주)프로키언 대표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각뿔의 꼭짓점과 닿지 않는 면이에요. 따라서 ‘각뿔의 꼭짓점’도 바뀌지 않아요.서울증산초등학교 강경은 교사는 ‘각뿔의 꼭짓점’을 ‘밑면과 가장 먼 꼭짓점’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각뿔의 꼭짓점’에 관한 문제는 개수를 묻기보단 그림에서 ‘각뿔의 꼭짓점’을 찾아 ... ...
- [특집] 막아라! 여섯 번째 대멸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번째 대멸종] 원인이 뭐야?Part4.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도움이창석(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김진한(국립생물자원관 전시교육과),Hoyal Cuthill, Jennifer F(엑세스대학교 분석 및 데이터 과학과), Nicholas Guttenberg(도쿄공업대학교 지구생명과학연구소), Elise F Zipkin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훈훈한 훈쌤이랑 말로만 들었던 인공지능을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청기백기 게임’은 청색 깃발과 백색 깃발을 양손에 각각 들고 “청기 올리고 백기 내려!”와 같은 문제에 맞게 깃발을 정확히 올리고 내려야 하는 게임이에요. 이번에는 청기백기 문제를 무작위로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직접 비교해 보면, 아무래도 개학을 미루는 게 더 안전한 것으로 예측됩니다.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수리모델링을 활용해 지난해 3월에 개학 연기가 없었을 경우 19세 이하 코로나19 환자 수가 몇 명이었을지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소아·청소년 환자 수는 1.75~2.39배 많았을 것이라고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당시 한국환경보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례를 조사했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현재 법원이 검토하는 내용, 즉 CMIT/MIT의 독성이 확인됐는가, 흡입을 통해 표적 장기(폐)에 도달하는가, 폐질환을 일으킬 정도의 충분한 양인가는 전형적인 위해도 평가”라며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더웠던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미지근한 방바닥에 엎드려 잡지를 읽고 있었다. 그때 서울대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인간 중심의 의학과 달리 모든 생명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이라는 구절이나, 우리가 먹는 육류나 유제품도 수의사의 손을 거쳐 안전성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때는 물리학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물리학을 하려면 수학이 필수라는 걸알았기 때문에, 서울대학교 수학부에 입학한 뒤 열심히 공부했어요. 실제로 물리학자의 길을 걸어 볼까도 생각했지만 결국 그러지 않았어요. 개인적으로 물리학이라는 학문은 공부와 연구에 인생을 바쳐야 할 정도로 몰두해야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