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초대 원장을 역임한 국내 법과학자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4월 8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여성과총)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법과학 분야는 다양하다. 부검이나 유전자 검사뿐만 아니라 디지털 포렌식, 화재 감식, 안전사고 분석, 마약 분석 등 ... ...
- [과동프렌즈] 철통 보안 암호 만드는 프로그래머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그대로 컴퓨터도 생각하는 것 같아서 배우기도, 쓰기도 정말 편하다”고 말했다.서울에 살던 그가 부산에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를 택한 이유도 프로그래밍이 좋아서다. 그는 “프로그래밍, 특히 암호와 관련된 정보 과목을 중점적으로 배울 수 있는 고등학교를 찾아봤다”며 “한국과학영재학교와 ...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본존불과 이를 완벽하게 감싸는 돔형 천장은인간보단 신을 떠올리게 했다.”3월 9일, 서울 은평구 한국문화재사진연구소에서 만난 한정엽 실장은 2000년, 아버지와 석굴암 내부를 촬영하던 순간을 회상하며 신이라는 단어를 언급했다. 그의 아버지는 1971년부터 유물 사진을 평생 촬영한 국내 대표 ... ...
- 신속PCR 쟁점 3가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만들자는 것인 만큼 이제는 타액 검체 채취 등 용이성을 따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서울대는 “관악구 보건소 등과 협의를 거쳐 검사 시행 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을 완료했고 4월 말 검사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4월 20일 현재까지 IRB의 심의를 통과하지 못해 진통이 예상된다 ...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올해 3월에는 “직접 개발한 AI 엔진인 뮤즈를 탑재한 로봇 ‘뮤지오(Musio)’를 서울 노량진초등학교에 설치했다”고 밝혔어. 뮤즈는 대화의 문맥과 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와 나눈 대화를 기억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 AI야. 학생들의 영어 회화 학습과 실력 측정에 쓰일 거라고 해. AI는 확률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세계적인 수학자의 길로 들어서다이 교수는 1947년 서울의 남대문 시장을 지나다가 우연히 쓰레기더미 속에서 미국 수학회지 ‘미국 수학 협회 회보(Bulletin of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를 발견합니다. 거기서 당시 유명한 수학자였던 막스 초른(Max A. Zorn)이 쓴 논문을 ...
-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이렇듯 한쪽으로 치우친 정보만 얻게 되는 현상을 ‘필터버블’이라고 불러요. 엄석진 서울대 교수는 “AI가 작동하는 원리인 알고리듬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한 채 AI가 내놓는 결과에만 기대는 건 위험하다”고 말했어요. 알고리듬이 올바른지 아닌지 알아야 그에 따른 분석 결과가 맞았는지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로만 들었던 인공지능을 훈훈한 훈쌤이랑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오늘은 스마트폰 비서와 인공지능 스피커 등에서 활용되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해 아나운서처럼 정확히 발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공지능 발음 교정 게임’을 만들 거예요. 인공지능 발음 교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베이시스트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굳이 셀 생각도 없어요.” 3월 9일 서울 영등포구의 한 스튜디오에서 만난 임이랑 작가는 그의 집이 독특한 무늬를 가진 희귀 식물부터 천장에 닿을 만큼 키가 큰 식물, 식용 식물 등으로 가득 차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임 작가는 밴드 ‘디어클라우드’의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것이죠. 개미의 길도 렌즈를 만나면 굴절된다! 피오트르 야브원스키 교수와 최지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팀은 개미가 렌즈 모양의 장애물을 지나갈 때, 마치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처럼 개미의 경로가 굴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벨크로를 이용해 볼록렌즈,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