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새롭게 돌아온 훈쌤 코딩! 훈훈한 훈쌤이 따끈따끈한 주제를 새롭게 들고 왔어요. 바로 ‘인공지능’! 인공지능을 앞으로 세 달 동안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튜토리얼’로 인공지능과 친해진 후, 내 얼굴 속 황금비율을 찾는 인공지능을 만들어 볼 거예요! 튜토리얼 ... ...
- 5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긴장이 감도는 이곳은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가 열리는 대회장! 참가한 과학자와 인공지능(AI)은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만 보고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질지 3차원 구조를 그려내야 합니다. 모두가 골머리를 썩이며 계산에 열중하고 있던 그때!“저요~! 저 다 풀었어요!”벌써 다 풀었다고 손 ... ...
-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 인터뷰 “이번 CASP 복합체 구조 예측 분야에서 1등을 했어요!”박태용 연구원(서울대학교 화학부 계산생물학 실험실) Q1등을 축하드려요! ‘복합체 구조 예측’이 무엇인가요?다양한 종목이 진행되는 올림픽처럼, CASP에도 여러 분야가 있어요. ‘복합체 구조 예측’ 분야는 하나의 단백질이 ... ...
- 늘어난 실내 생활 ‘공기 질’ 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농도는 각각 32%, 34% 감소했다. 하지만 다이슨의 공기 질 측정 배낭 실험에서는 같은 기간 서울의 초미세먼지는 68%, 이산화질소는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 지역에서 공기 질을 측정한 결과와 실제 일상생활에서 이동하는 지역의 공기 질 변화에서 큰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다이슨이 이런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용해 물리쳤거든요. ★ 도움김남준(서울용원초등학교 수석교사), 임영운(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김영은(신비아파트 구하리 역 성우), 김범준(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이미지 CJ ENM 참고자료 Hetao Chu, ‘Unipolar stroke, electroosmotic pump carbon nanotube yarn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합니다. 하는 일과 수학은 얼마나 관련 있나요?박재일, 쯔엉 민 서울로보틱스에서 만드는 SW의 모든 알고리듬은 수학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업무와 관련해 소통할 때 대부분 코드와 수식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기하학적인 직관이 매우 ... ...
- [만화뉴스] 지문 덕분에 손은 미끄럽지 않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1월 30일,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박건식 교수팀은 지문이 손가락의 마찰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유리판에 손가락을 댄 후, 시간에 따라 손가락과 유리 사이 마찰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지요. 관찰 결과, 손끝이 건조하면 약간의 땀이 나며 지문이 유리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박사, 아주대 오규환 교수님, 명지전문대 이은진 교수님, 쏘카 장혁 매니저, 그리고 서울대 박진영 연구원님까지 1년간 함께한 멘토들의 이야기는 탐험 열정을 자극했답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6개나 만들었어요.”둘째 날인 5일 라이브에서는 무려 7시간 동안 생방송이 ... ...
- 동물원에 사는 동물, 안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뿐만 아니라 체험프로그램도 안전하지 못한 방식으로 이뤄졌어요. 어웨어는 서울의 한 동물원에서 먹이 주기 체험에 이용되던 코아티가 2019년 우결핵으로 사망했다고 밝혔어요. 우결핵은 사람도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이지만 동물원은 관람객에게 이 사실을 알릴 의무가 없어요. ...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람이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2005년 러시아 학자에 이어 그가 두 번째다.시상식 직후 서울 강남구 한국문화재재단 ‘민속극장 풍류’에서 로클리 교수를 만났다. 2주간의 자가격리를 막 마치고 시상식에 참석한 그는 “미국에서도 잘 대우해주지 않는 고생물학자에게 표창까지 준다고 해 큰 감동을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