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물이 촉매 입자들을 방해하는 비정형 탄소와 반응해 나노튜브가 계속 자랄 수 있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촉매 입자들은 그대로 촉매 작용을 계속해 ‘나노튜브 숲’이 만들어졌다.전문가들은 만약 하타 박사 연구팀의 방식이 확대된다면 탄소나노튜브의 가격이 내려가 상업적 응용이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발견된 이 화석은 지금까지 알려진 인류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더 놀라운
사실
은 이 화석이 불과 1만80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진 것. 따라서 수만년 전 이곳으로 이동한 현생 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와 한동안 공존하다가 결국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이 화석은 원시적인 특징과 모던한 특징을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다고 광고한다. 패스트푸드가 열량이 높다고 알고 있지만, 다른 음식과 비교해보면
사실
열량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다. 불고기버거 세트가 737kcal로 764.6kcal인 된장찌개와 비교해 별 차이가 없다고 한다.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총열량도 중요하다. 문제는 총열량이 비슷할 경우 총열량 중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전선은 뚜렷했다. 코스타리카안 대 벨기에안.모든 복제를 금지하는 코스타리카안은
사실
상 미국 부시 행정부 주도하에 이탈리아 필리핀 노르웨이 케냐 등 61개국이 지지한다. 반면 벨기에가 낸 초안은 인간(개체)복제는 금지하되 치료나 연구 목적의 복제 허용 여부는 각국의 재량에 맡기자는 내용.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식됐다.말머리성운이 암흑성운으로서 천체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
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말머리성운은 태양계에서 1200광년 가량 떨어져 ... ...
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비대칭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러나 비대칭이야말로 오늘날 우주와 생명체가 있게 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
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물질과 반물질, 왼쪽에 놓인 심장,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등 자연의 곳곳에서 발견되는 비대칭 현상의 기원과 그 의미를 찾아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K}^{0}$입자’라고 불리는 수명이 매우 짧은 중간자의 붕괴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
을 발견했다. 중간자의 수명이 짧은 것은 쿼크와 반쿼크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서로 부딪쳐 소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질량이 양성자의 절반쯤 되는 ${K}^{0}$입자는 다운쿼크와 반스트레인지쿼크로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으면 헤모글로빈의 RNA가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억제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이러한
사실
들은 결국 DNA에 있는 유전자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DNA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종류와 다중 역할, 단백질들이 만드는 네트워크의 복잡성이 인간의 우월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증거이다. 진화란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렇게 수백번의 실험 끝에 김 교수는 셀룰로오스 함량이 종이의 떨림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
을 밝혀냈다. 셀룰로오스 함량이 높은 종이가 더 잘 떨린다는 것. 연구팀은 종이가 떨리는 원인이 전기를 진동으로 바꿔주는 압전효과와 종이 내부의 결정과 비결정부분을 옮겨 다니는 전하 움직임이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알려졌으나 아직 학계에서는 논란이 많다. 울릉도에서 나이가 젊은 화강암이 발견됐다는
사실
로 울릉도 지하 깊은 곳에서 규모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젊은 대륙지각이 만들어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가능해졌다. 해양지각이 반려암과 현무암으로 주로 구성돼 있는 반면 대륙지각을 구성하는 ... ...
이전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