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 이라크에 파견된 자이툰 부대에 배치돼 11월부터 실전에 사용된다. 이 같은
사실
은 롭해즈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전병헌 국회의원(열린우리당)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밝혀졌다.롭해즈는 주야간 정찰 및 도로에서 폭발물 수색 작전을 펼치며 폭발물을 발견했을 때 원격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될 수 있다.후각은 인간이 갖고 있는 약 3만개의 전체 유전자 중 3%에 해당된다. 흥미로운
사실
은 후각 유전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작동하지 않는 유전자’ 라고 한다. 인간이 두 발로 서게 되면서 후각보다는 시각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됐고 결과적으로 후각이 퇴화했기 때문이다.또 사람마다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사후과정 1명, 박사과정 4명, 석사과정 4명이 연구하고 있다. 특이한
사실
은 이들 가운데 3명은 수학과 출신이 아니라는 점. 전자과, 기계과, 토목과 출신이 각각 1명씩이다. 이 교수는 “수식을 이용하는 분야를 공부하던 학생 가운데는 수학의 엄밀함에 매료돼 대학원에서 전공을 수학으로 바꾸는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백질 분해 기능 외에도 여러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높은 항생, 항균능력이 있다는
사실
이다.이미 세계적으로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분해효소가 보고돼 있고 이미 여러 다국적기업이 전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이런 특성을 가진 효소는 보고된 바 없다.이는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달리 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선인장, 몸무게가 1.2g인 피그미두더지 등 재미있는
사실
도 들었다.이기석 관장이 전시품을 수집한 것은 40여년 전부터다. 산골짝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의사가 된 뒤 다 쓴 기계를 버리지 못하고 이것저것 모으다가 화석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수집품이 하나 둘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기술 수준의 제품을 잇달아 출시해 기염을 토하고 있다.최고 테스트 책임자 흥미로운
사실
은 그에게 ‘최고 테스트 책임자(Chief Testing Officer)’란 별명도 붙어 다닌다는 점이다. 쏟아져 나오는 주요 신제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기기 전에 사무실이나 집에 가져가 직접 써보고 부하 직원들에게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때 폭발하는 현상이다. 밝기가 갑자기 밝아져 새로운 별이 출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이 죽음에 다다랐다는 마지막 신호다.흥미롭게도 케플러 초신성은 우리은하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초신성이다. 1006년 5월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은 초신성이 출현한 것을 비롯해 1054년에 목성 밝기의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도착한 26세의 찰스 다윈은 먹이의 종류에 따라 14종의 핀치 부리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다윈의 핀치’ 로 불리는 이 관찰은 다윈이 훗날 ‘종의 기원’ 에서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을 펴는데 영감을 줬다.그런데 핀치 부리의 다양한 모양이 특정한 단백질의 발현 시기와 ... ...
누가 누굴 먹는거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위는 몸길이의 91%까지 늘어날 수 있고 먹이는 마치 아코디언처럼 위 속에서 압축된다는
사실
을 밝혀냈다. 잭슨 박사는 “뱀이 먹이로 뱀을 좋아하는 이유는 공간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라며 “물론 도저히 소화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다시 뱉어낸다”고 덧붙였다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맛에 밤새 연구하는 것이 아닐까.인간 닮은 로봇은 꿈을 준다
사실
로봇이 꼭 인간의 모습을 닮을 필요는 없다. 두 다리로 걷든 네 다리로 걷든 똑똑하고 일만 잘하면 그만이다. 예를 들어 KAIST 양현승 교수팀이 개발해 유명해진 ‘아미’ 는 얼굴은 사람과 닮았고 팔도 있지만 ... ...
이전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