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큰 꽝'으로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우리말의‘쾅’에 해당됩니다. 즉‘큰 쾅’같은 우스꽝스러운 이름을 갖게 된 것이지요.
사실
‘빅뱅’은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론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비꼬기 위해서 만든 말인데 오히려 더 재미있고 자연스러운 이름을 지어준 꼴이 되었습니다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물이 촉매 입자들을 방해하는 비정형 탄소와 반응해 나노튜브가 계속 자랄 수 있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촉매 입자들은 그대로 촉매 작용을 계속해 ‘나노튜브 숲’이 만들어졌다.전문가들은 만약 하타 박사 연구팀의 방식이 확대된다면 탄소나노튜브의 가격이 내려가 상업적 응용이 ... ...
기름기 많이 먹으면 머리 나빠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나치게 섭취하면 학습과 기억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
이 동물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슈퍼사이즈 미’ 실험에서 확인됐다.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의대 안-샬롯테 그랜홀름 박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쪽은 일반 사료를, 나머지는 고지방 사료를 8주간 먹였다. 그 뒤 이들을 물 속에 빠뜨려 땅으로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생태를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이 온도는 낮고 습도는 높은 환경을 좋아한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온도와 습도가 다양한 환경을 만들어놓고 집먼지진드기의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연구자들은 “집먼지진드기는 대기에서 습기를 흡수해 수분을 보충한다”며 “따라서 습도가 50% 미만이면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K}^{0}$입자’라고 불리는 수명이 매우 짧은 중간자의 붕괴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
을 발견했다. 중간자의 수명이 짧은 것은 쿼크와 반쿼크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서로 부딪쳐 소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질량이 양성자의 절반쯤 되는 ${K}^{0}$입자는 다운쿼크와 반스트레인지쿼크로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다고 광고한다. 패스트푸드가 열량이 높다고 알고 있지만, 다른 음식과 비교해보면
사실
열량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다. 불고기버거 세트가 737kcal로 764.6kcal인 된장찌개와 비교해 별 차이가 없다고 한다.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총열량도 중요하다. 문제는 총열량이 비슷할 경우 총열량 중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라는 책을 펴낸 울산의대 권석운 교수는 “성격의 많은 부분이 유전되는 것은
사실
이지만 성격 유전자와 혈액형 유전자를 연관짓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성격 유전자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많지 않고 만에 하나 혈액형 유전자와 성격 유전자가 관련이 있다고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CERN은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e메일과 전화를 받고 있다. 책에 등장하는 CERN에 대한 얘기가
사실
이냐고 묻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소설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CERN이 반물질 폭탄을 만드는 곳이라는 점이다.반물질은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과는 반대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우주 초기에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남긴 흔적이 혹시 스피처가 찍은 사진의 주인공이 아닐까.스피처가 포착한 우주 귀신은
사실
우리 은하에 있는 ‘DR6’이라는 성운이다. DR6은 지구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39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DR6이 이런 모습을 하게 된데는 가스와 먼지가 뭉쳐진 성운에서 태어난 별들이 큰 역할을 했다.귀신의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학창시절 수학 공부가 실생활에 정말 도움이 되나’라고 물었더니 나온 대답이다.
사실
세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수학은 사칙연산에 간단한 함수, 통계 정도면 되고, 첨단 과학을 이끌 고급 수학은 영재나 이공계 전공자만 하면 된다.“수학 문제를 한줄한줄 풀면서 엄격하게 증명된 원리를 ... ...
이전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