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사"(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x와 2x는 더할 수 있는데 x와 y는 왜 못 더할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우리는 수를 대신하기 위해 문자를 씁니다. 한 예로 ‘두 수는 순서를 바꿔 더해도 그 결과가 같다’ 고 말하고 싶을 때, 2+3=3+2와 같이 특정한 수를 이용한 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성질은 자연수, 정수뿐 아니라 유리수와 실수에서도 성립하기 때문에 모든 수를 다 써서 식으로 쓰는 것이 불가 ...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열렸다. 필자는 중·고교 과학교사 10명의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탐사에 참가한 생물 교사 한 명이 암끝검은표범나비 수컷 1개체를 채집했다. 물론 이동성이 강한 어른 나비 1마리를 갖고 성급하게 기후변화를 말하는 것은 무리였다.6년이 지난 2011년 5월 21일 횡성군 갑천면의 연구소 주변에서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 264쪽 | 1만 3800원 이 책의 집필진은 지구과학교육연구회 자연탐사학교 소속 9명의 과학교사들이다. 지구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천재지변 현상을 소개하고 그 배경 원리를 쉽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개정된 지구과학I 교과서를 학습하는 데 폭넓은 배경지식이 될 책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 ...
- INTRO. 인피니트가 들려주는 무한도 이야기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안녕하세요!‘무한돌’ 인피니트입니다. 뜨거운 여름 8월을 맞아 미스터리한 무한도 이야기를 준비했어요. 사실 숫자 8과 저희는 모두 무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거든요. 8월의 숫자 8이 옆으로 누우면 수학에서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뜻하는 무한기호‘∞’가 돼요. 저희 인피니트는 무한히 사 ...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저희들이 준비한 첫 번째 이야기는 수학자 칸토어에 대한 이야기예요.‘무한’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죠. 칸토어가 주장한 무한 이론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요? 인피니트의 성규, 성종, 동우가 준비했어요.자연수와 짝수의 개수가 같다?!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반가워요. 인피니트의 성 ... ...
-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어텐션~! 보라야! 저 팽이처럼 저렇게 빙글빙글 돌아야 한단다. 알겠니?”“박사님 이렇게요? 넘어지지 않고 잘 도는 게 어려워요. 그런데 박사님 갑자기 발레는 왜 배우는 거예요?”“빙글빙글 돌면 재밌는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지. 이제 옷 갈아입고 실험실로 가 보자꾸나.”아르키메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어떤 수를 영 제곱한다는 것은 20, 30, 100과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거듭제곱은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했을 때, 일일이 곱한 수를 나열해 쓰지 않고 곱한 횟수를 오른쪽 위에 작은 숫자로 표현해 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25은 2×2×2×2×2와 같이 2를 다섯 번 곱했음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 ...
- PART 2 무한한 사람들이 사는 섬이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다음으로는 무한한 사람들이 사는 전설의 섬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 전설처럼 내려오는‘무한도’이야기를 들어 봤나요? 이 이야기 속에는 4개의 무한퀴즈가 있어요. 수학동아 독자들도 함께 생각해 보세요. 인피니트의 엘, 호야, 성열 그리고 우현이 준비했어요!무한히 많은 코코넛 나무를 주 ...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길을 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지도 한 장, 자세히 들여다보니 어라? 말로만 듣던 보물 지도다! 이런 일이 실제로 내게 일어난다면 기분이 어떨까? 영화 속에서 봤던 금은보화가 눈앞에 왔다갔다, 심장이 두근두근…, 상상만으로 짜릿하다. 여기 역사적 사실과, 지구 어딘가에 감춰져 있을 보물을 찾아 ... ...
- π가 끝이 없는 수라는 걸 어떻게 아나?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원주율 π는 원에서 지름에 대한 원둘레 길이의 비를 말합니다. 그리스문자 π를 써서 나타내지요. 이렇게 독특한 문자를 쓰는 이유는 π가 둘레를 뜻하는 그리스어‘περιμετροζ’의 첫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는 낯선 문자이지만 그리스 유산을 이어받은 유럽인들에게는 이 문자가 자연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