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사"(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장맛비가 계속되던 2011년 7월의 어느 날.“편집장님! 저희가 F1 대회에 참여한다고요? 시속 300km로 달리는 그 F1 말이죠?”“허허허, 난 자네들이 잘 해낼 거라 생각하네. 이참에 우리의 무기인 수학을 이용해 우승하면 되지.생각만 해도 신 나지 않아? F1 출전은 내 오래된 꿈이었다네. 자네들이 대신 ... ...
-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로 꼽히는 F1은 평균 2주에 한 번 꼴로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경기를 치른다. 전 세계 5억 3000만 명이 경기를 시청하고, 1년에 약 400만 명이 경기를 직접 관람한다. 우리는 그들 앞에서 경기를 무사히 치를 수 있을까.10월 14일, 연습 주행올해로 2회째를 맞이하 ...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세상에서 가장 빠른 것은 무엇일까. 별 문제가 없어 보이는 이 질문을 조금 더 생각하면 이상한 느낌이 든다. 걷는 것보다 자전거가 빠르고, 자동차보다 비행기가 더 빠르니까, 결국 어떤 식으로든 더 빠른 것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그러면 질문을 바꿔 “지금까지 가장 빠른 것은 무엇일까 ...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받았고, 우수상과 장려상 수상자도 장학증서(팀당 각각 1000만 원, 500만 원)를 받았다. 지도교사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300만 원이 수여됐다. 또 수상자는 해외 탐방기회 및 한화그룹 입사지원 시 우대 특전을 받는다. 모두가 즐거운 도전, 모두가 챔피언이 날 특강을 한 백성희 서울대 교수는 “항상 ...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많은 학생들이 두려워하는‘도형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호에서는‘도형의 성질’ 단원을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서울 반포중학교 임윤영 선생님을 찾아가‘도형 공포증’에 시달리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 처방전을 받아왔습니다. 특별히 오늘은 ‘평면도형’에 대해서만 집중해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수학동아 l2011년 11호
- 11 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니? 11처럼 쭉 뻗은 쌍둥이 빌딩, 2011년 11월 11일의 빼빼로와 가래떡, 첫 번째 쌍둥이 수…. 저마다 다른 무언가를 떠올릴 텐데, 특별히 떠오르는 게 없는 친구도 있을 거야. 걱정하지 마. 11로 떠나는 여행이 있으니까. 숫자 11을 향해 출발~!제1코스 시침과 분침의 움직임을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와~! 박사님. 신기한 작품이에요. 그림자에 걸어가는 사람이 보여요.”“그렇지? 일본의 예술가 쿠미 야마시타의 작품이란다. 그림자를 이용해 재밌는 작품을 만든 사람으로 유명하지. 벽에 여러 모양의 나무 입체 조각을 붙여 그림자가 사람이 되도록 한거야. 입체도형에 빛을 어떤 각도로 비추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유리수는 분자와 분모가 정수인 분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뜻합니다.유리수에는 자연수와 정수는 물론이고, 소수점 아래 몇 번째 자리에서 끝나는 유한소수도 포함되지만 논의에서 제외합시다. 위질문은 0.3434…와 같이 소수점 아래에서 끝나지 않는 무한소수인 유리수는 반드시 34와 같이 적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해상강대국, 피사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늦게 통일된 나라에 속한다. 그 전에는 왕국, 공작이나 후작이 다스리는 공국, 몇 개의 가문이 다스리는 공화국들로 나뉘어 있었다. 피사는 현재 인구 8만 명 남짓한 작은 도시지만한때는 강력한 해상공화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피사는 북쪽으로는 세르키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제1코스 축구선수가 선망하는 등번호 1920년대 초 축구 경기에서는 볼 수 없었다. 관중들이 선수들을 쉽게 알아볼 뿐 아니라 경기 내용도 편리하게 기록할 수 있게 돕는다. 무엇일까? 바로 선수 유니폼에 새겨진 숫자다. 1920년대 후반 영국에서 처음 달기 시작한 등번호는 점차 국가대표팀 간의 정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