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이론으로, 태양 표면의 ‘나노플레어’가 코로나에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거예요. 태양 표면에서는 플레어라는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는데, 그보다 더 작은 규모의 나노플레어가 더 자주 발생해요.나노플레어라고 해도 지구보다 큰데다 핵폭탄 폭발과 맞먹는 위력이에요. 그래서 폭발할 때마다 근처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 씨가 허리춤에 차고 있던 길다란 드라이버의 존재 이유가 이해됐다. 그는 “흙 표면에 사는 종들 가운데 겨울이 되면 월동을 하기 위해 바위 틈으로 옮겨 가는 종이 있다”며 “개미와 공생하는 동물들은 주로 개미굴 깊숙한 곳에 사는데, 개미들이 동면하러 바위 틈에 올라올 때 같이 올라오기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체가 한데 모여 살기 때문에 마치 하천에 떠 있는 초록색 실뭉치처럼 보여요. 해캄은 표면이 점액으로 덮여 있어서 만지면 미끈미끈한 느낌이 든답니다.해캄의 세포 속에는 광합성을 하는 엽록체가 들어 있어요. 그 덕에 물속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빛을 쬐어서 스스로 양분을 만들 수 있지요.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때, 나는 기생충학자 정 박사의 연구 결과를 전해 듣고 있었다. “그 샘플 말인데요, 표면에 뭐가 살고 있더라고요. 박테리아말고요. 더 큰 녀석.”“아, 네 전공? 어떤 놈들이었어?” “선충이었어요. 할리세팔로부스 속 비슷하던데, 말에 기생할때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숙주 없이도 잘 사는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스스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부착 물질을 생성하기 시작했다. 모터가 숙주의 점막 표면을 인지하는 센서처럼 사용된 것이다. 예날 교수는 “우리는 세균이 기계적 자극을 읽는 방법과, 이런 신호에 반응해 어떻게 행동을 바꾸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며 “카울로박터는 병원성이 없지만, 이번 연구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실제 피부와 동일한 색깔과 질감을 입히는 원리다. 트라이큐빅스 관계자는 “얼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실제 피부색을 제외한 조명 등 다른 빛을 제거하는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中, 3초 만에 13억 얼굴 인식 시도페이스ID처럼 얼굴 인식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최 교수는 “바이러스가 잠입한 세포가 활발하게 분열하는 등 활성화돼 있어야 세포 표면에 항원이 생기고 체내 면역체계가 이를 인지해 공격할 수 있다”며 “기억T세포는 증식을 활발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항원을 발현하지 않고, 따라서 바이러스가 장기간 남아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폭을 측정해서 결정한 실체파 규모는 6.46이었다. 레일리파의 진폭을 측정해 결정한 표면파 규모는 7.30이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발생한 인공지진의 경우 한국과 미국은 실체파 규모로 계산한 결과를 발표했지만, 중국은 어떤 규모로 계산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동일한 실체파 규모로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 회사는 주사 바늘을 이용해서 두개골 안에 그물망 형태의 전극을 삽입한 뒤, 뇌 표면을 따라 부착하는 방법으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뉴럴링크의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내리칠 때 무릎의 각도와 발목 각도가 넓어집니다. 어린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뒷발로 물 표면을 내리치는 동작에서 무릎 각도는 최대 125°가량 벌어집니다. 이어지는 동작에서는 발목 각도가 최대한으로 늘어났는데, 대략 140°였습니다. 어른 도마뱀이 되면 어릴 때보다 무릎을 더 구부린 채 달리는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