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27건 검색되었습니다.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1차원 전자계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아가 거울 쌍정 경계에서 원자가 결여되거나 잘못
배열
되는 '점결함'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전자의 이동속도가 줄고 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해진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전자 수송 속도가 전자의 상호작용 세기와 반비례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향후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메타표면은 수억 개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의 구조체를
배열
해 렌즈와 홀로그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2차원(2D) 평면광학 소자다. 메타표면에서 빛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 현상이 메타표면 효율과 정밀도 ... ...
열 받으면 수축하는 대신 늘어나는 '스마트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늘어나는 형상변형을 유도한 것이다. 스멕틱 액정은 길쭉한 액정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
돼 층을 이룬 구조의 액정 소재다. 세계 최초로 열에 감응해 길이가 늘어나는 섬유를 연속적인 용융방사 공정으로 생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온도가 상승하면 30% 이상의 변형률로 길이가 늘어나고 온도가 ... ...
구부리고 늘리는 '스트레처블 기판' 왜곡 크게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픽셀이 붙는 왜곡이 발생했다. 연구팀이 만든 기판은 나노구조 정렬 기판 픽셀이 고르게
배열
돼 이미지가 깨지지 않고 주름이나 거친 표면이 생기지 않아 투명도가 유지됐다. 개발된 스트레처블 기판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 ...
뇌혈관 장벽 재현한 3D 모델…알츠하이머 연구 진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이중층 구조를 완성했다. 연구팀은 2D 모델에서 관찰되지 않던 ‘밀착연결 단백질’
배열
과 조직화 과정을 명확히 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또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TNF-α', 'IL-1β'를 처리한 후 BBB의 투과성과 염증성 반응 변화도 관찰했다. 이를 통해 신경염증의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모사하고 ... ...
고분자 엮은 '사슬갑옷' 구현…방탄복 혁신 가져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제공 연구팀은 먼저 X자 모양의 고분자 단위체인 TPE-PhOH 분자들을 특수한 구조로
배열
했다. 이후 단위체를 중합하는 화학 반응을 거치면 2개의 고분자층이 형성된다. 이때 각 고분자층을 이루는 단위체들은 90도씩 꺾이면서 교차로 결합한다. 2개의 고분자층이 맞붙은 채 서로의 구멍 부분을 ... ...
얇을수록 저항 줄어드는 신물질 첫 개발…차세대 반도체 활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전자를 잘 수송하고 비저항이 훨씬 낮다. 이번에 개발된 물질은 원자들이 불규칙적으로
배열
된 비정질 상태로 구현돼 기능한다. 배선을 결정질 형태로 만드는 고온의 후속 열처리 공정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저온인 400℃ 미만에서 공정이 진행된다.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뜻이다. 이번 ... ...
이산화탄소, 이차전지 핵심인 '고품질 탄소' 소재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소재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에 주목했다. SWCNT는 탄소 원자가 육각형 모양으로
배열
된 단일층인 그래핀(graphene)이 원통 모양으로 말린 형태다. 1kg에 수백만 원이 넘어갈 정도로 비싸지만 반도체나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로 쓰이며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전환 공정을 통해 ... ...
수컷쥐 정자 질주 비결, '갈고리' 머리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관측됐다. 연구팀은 정자 갈고리의 고정 효과 덕분에 정자의 머리가 한 방향으로
배열
되어 움직이거나 동기화된 헤엄치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쥐 정자의 머리 갈고리가 이같은 행동을 위한 진화의 산물일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도 제시했다. 연구팀은 “기차 가설은 여태까지 관측 ... ...
서울대, 손바닥 저장 전략 구현한 로봇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손가락, 손바닥을 역할에 맞게 각각 제어하기 위해서다. 손바닥에는 유연한 털이
배열
된 벨트를 설치해 다양한 크기의 물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설계했다. 이를 통해 손가락엔 2개의 모터, 손바닥엔 1개의 모터 총 3개의 모터만으로 4개 이상의 물체를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그리퍼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