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2/3' '-3/5' 전하...그래핀 속 전자의 기묘한 행동, 양자컴퓨터에 활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데 영향을 준 것이다. 올해 2월 쥐룽 MIT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 덩어리에서 특정
배열
의 그래핀 5장을 떼어내 질화붕소(BN)층 사이에 끼웠다. 그래핀과 질화붕소층은 둘 다 원자가 육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패턴이지만 육각형 격자의 크기는 질화붕소가 약간 더 크다. 연구팀은 이런 미세한 불일치 ... ...
갈색 판다 탄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06
DNA를 비교했습니다. DNA 안쪽에는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가 순서대로
배열
돼 있지요. 연구팀은 DNA에서 털색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Bace2' 유전자의 일부 염기가 갈색 털 판다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자이언트 판다는 부모 판다에게서 Bace2 유전자를 각각 한 개씩 받습니다. ... ...
차세대 수전해 효율 높인 고체산화물전지 스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기계적, 화학적으로 깎아 길을 냈다. 연구팀은 울퉁불퉁한 돌기를
배열
해 유로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프레스 성형 공법을 적용해 하루 최대 100개였던 기존 분리판 생산량을 하루 1000개 이상으로 개선했다. 동시에 스택에 공급된 전력에 손실 없도록 셀과 분리판의 접촉 면적을 ... ...
[과기원NOW] GIST, 당구공으로 '양자적 혼돈' 비밀 밝혀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씨는 ‘지상 통신 및 위성 통신을 위한 완벽히 통합된 Ku-대역과 Ka-대역 이중 편파 위상
배열
설계 방법론’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소개했다. 이 논문은 주파수 대역 확장과 소형화된 구조적 이점으로 차세대 어플리케이션 분야에 대한 기여한 데 대해 높이 평가받았다 ... ...
안구건조증 환자, 눈에 사는 '미생물' 구성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RNA(rRNA)'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사용했다. 이 분석법은 미생물 염기의 특정 부분만을
배열
해 종류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건강한 사람의 눈에는 스트렙토코커스와 페도박터란 미생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 반면 안구건조증 환자에는 아시네토박터 미생물이 미생물 ... ...
'1000조분의 1초' 포착 펨토초 과학, 단결정 분자 반응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분자에 엑스선을 쏴 회절 신호를 분석하는 엑스선 결정학의 등장으로 원자의
배열
과 움직임을 관찰하는 도구가 상당한 발전을 이뤘지만 주로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물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됐다. 비(非)단백질의 작은 분자 결정은 엑스선을 흡수하는 단면적이 넓고 생성되는 신호가 약해 분석이 ... ...
[과기원NOW] 태양으로 이산화탄소→친환경 에너지 변환...고효율 광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않아도 돼 미래 유망 탄소 포집·활용기술로 주목받고 있지만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
된 결정구조로 이뤄져 있어 구조를 유지하면서 촉매 내 다양한 활성점을 설계하려면 제약이 존재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활성점을 포함하고 전자 전달 성능을 개선한 고효율 광촉매를 개발했다. 기존 대비 메탄 ... ...
[과기원NOW] KAIST, AI가 알아서 업데이트하는 선택 알고리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검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논리적 이상은 이미지 내 구성요소의 개수·
배열
등과 같은 기본 논리 제약을 벗어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 ...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얇고 젤리처럼 말랑하다. 뇌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뇌에 신경 전극을 더 많이
배열
해 뇌 신호를 동시에 많이 수집할 수 있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쥐 두개골 곡면을 따라 전자회로를 얇게 인쇄해 뇌에 이식했다. 회로는 마치 문신처럼 얇아 두개골 외관에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다. 뇌에 ... ...
음주운전 '꼼짝마'…신속 진단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센서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금속유기구조체는 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의 규칙적인
배열
을 통해 이뤄는 결정질 물질으로 최근 센서 연구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에탄올 센서는 현재 화학 공정, 의료, 식품 산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성능이 높은 에탄올 센서일수록 일반적으로 25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