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학기술인상에 노준석…초박막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나노구조체의
배열
로 이루어진 평면 광학소자인 메타렌즈는 하나의 카메라 렌즈로 여러개의 렌즈를 대체할 수 있는 렌즈다.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의 얇은 두께의 렌즈라 경량화에 유리하고 고해상도 이미징 등이 ... ...
[잠깐과학] 1884년 6월 16일…롤러코스터 놀이공원에 첫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9
스위치백 철도는 중력으로 경사면을 달리는 철도 여러 개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
한 철도입니다. 광물을 옮기기 위해 만들었지만 탑승이 재밌다는 소문이 나면서 돈을 받고 사람들을 태워주기 시작했어요. 라마커스 톰슨은 이를 본떠 중력만으로 높은 곳에서 미끄러질 수있는 놀이 기구를 ... ...
[과기원NOW] 포스텍, 루푸스 발병 메커니즘 밝혀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게재됐다. ■ KAIST는 박제균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스페로이드'
배열
을 맞춤형으로 손쉽게 제작하고 이를 구획화해 다중 시약 처리를 할 수 있는 조립형 마이크로어레이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세포들이 뭉쳐 생성된 구형 집합체인 스페로이드는 체내 미세환경의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인접한 큐비트끼리만 상호작용할 수 있어 연결성이 떨어진다"며 "이온포획 방식은
배열
된 이온들이 영향을 줄 수 있어 연결성이 매우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미국 아이온큐(IONQ)가 이온포획 방식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양자기술을 활용하고 싶은 연구자들이 각자 양자기술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유리성 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유리성 폴리머(glassy polymer)는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폴리머 사슬이 일정하지 않은
배열
로 움직이지 않아 강도가 강하지만 신축성이 없어 잘 부러진다. 반면 말랑말랑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처럼 액체가 포함된 폴리머인 '젤(gel)'은 신축성이 좋지만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유리성 ... ...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점을 밝히기도 했다. 유리는 대부분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진 무기물로 원자들의
배열
이 일정하지 않은 비정질 구조다. '유리'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결정화되지 않고 단단하게 냉각된 물질의 상태를 지칭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 3개를 활용해 만든 '티로신 트리펩타이드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토니 스커미가 제안한 입자로 방향성을 띤 전자의 물리량인 스핀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열
된 독특한 구조체다. 스핀이 갖는 양방향의 자유도를 이용하면 0 또는 1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스커미온을 원하는 위치에 생성·소멸시킬 수 있다면 정보 저장의 기본 단위(bit)로 쓸 수 있다. ... ...
[과기원NOW] 이재석 GIST 명예교수,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제조, 광결정용 거대 보틀브러쉬 블록공중합체 합성, 자기유화중합, 분자레벨 규칙
배열
구조 제어 등 연구를 통해 고분자 소재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아마존웹서비스(AWS) 코리아와 양자컴퓨팅·인공지능(AI)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10일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알루미늄(Al)을 도핑해 성능이 향상된 강유전체 박막을 만들었다. 또 소자를 구성하는
배열
에도 변화를 줬다. 기존 MFS(금속-강유전체-채널)구조 대신 금속과 강유전체를 한 번 더 반복한 MFMFS(금속-강유전체-금속-강유전체-채널) 구조로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새로운 소자의 금속·강유전체층의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생체재료인 M13 박테리오파지는 금속 양이온과 쉽게 결합해 모든 금속 양이온을 일정하게
배열
할 수 있어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다. M13 박테리오파지를 금속나노입자에 합성해 만든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는 공기와 수분에 높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