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도
융해온도
융해점
용융점
뉴스
"
녹는점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성능 전자소자 만드는 단결정 포일 쉽고 싸게 제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포일을 공중에 매달고 수소 기체를 흘려보낸 뒤 열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다.
녹는점
에 가까운 고온을 가했을 때 불규칙했던 포일의 원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원자의 배열을 흐트리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무접촉 방식을 택한 것이다. 진 연구위원은 “다결정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9.08
‘지글지글 차알찰 차르르르~.’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치킨 튀기는 소리에 침이 고였다. 하지만 맛있는 치킨을 상상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도대체 저 소리가 치킨 몇 조각을 튀기는 소리냐 하는 점이었다. 모든 사람들이 숨을 죽이고 귀를 기울였다. GIB 제공 7월 22일 기자는 서울 송파구 롯 ... ...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03.19
존재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물질의 광학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녹는점
과 이온 전도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초이온 물 얼음의 성질과 동일했다. 연구에 참여한 레이먼드 지안로즈 버클리대 지구·행성물리 및 천문학과 교수는 “천왕성과 ... ...
얼음 왜 미끄럽지… 과학계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현재 이 이론은 잘못된 것으로 인식된다. 얼음에 압력을 가하면
녹는점
이 낮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영하 10도 이하의 환경에서 얼음이 녹으려면 2000기압 이상의 압력이 필요하다. 스케이트 선수 체중이 수백㎏을 넘어도 얼음 표면이 녹는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이를 ... ...
[아는만큼 보인다]동계올림픽의 꽃 '피겨 스케이팅'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않는 물 분자층이 살짝 형성돼 완전히 꽁꽁 언 빙판보다 더 매끄럽기 때문이다. 이처럼
녹는점
근처에서 고체 상태의 물질 바깥쪽이 녹는 현상을 ‘표면 녹음’이라고 한다. 물 분자 두 개 정도의 두께밖에 안 되는 물층이 액체처럼 움직이면서 얼음 위를 미끄럽게 만든다. GIB 제공 ... ...
눈 덮인 도로, 과학기술로 해결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겨울철 얼어버린 미끄러운 길에선 자동차나 사람이나 엉금엉금 움직인다. 사고나 낙상 위험도 커진다. 겨울철 미끄러운 도로에서의 안전을 위해 위험 지역을 미리 공지하거나 얼음이 얼기 전에 미리 눈을 녹이는 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BMW 드라이빙 센터 제공 장진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 ... ...
지구온난화 여파? 엘니뇨로 남극 빙하 방어막 무너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남극 빙붕의 모습.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질량이 점차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적도 부근에서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엘니뇨 현상이 남극의 빙붕(氷棚)을 더 빠르게 녹이고 있다는 관측 결과가 나왔다. 빙붕은 남극 대륙과 맞닿은 채 바다 위에 떠 있는 얼음 덩어리로, 따 ... ...
녹는 점 350도 낮은 석영이 거대 지진 키운다?
과학동아
l
2017.12.15
속도로 마찰시키면 석영 일부가 고온석영으로 바뀌면서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
보다 실제
녹는점
이 200∼350도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규모가 7.0∼8.0인 거대지진이 예상보다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 ...
용량 8배 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10.24
기사의 이해를 돕기위해 사용된 이미지로 본 연구성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위키미디어 제공 차세대 이차전지로 각광받는 ‘리튬황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대용량 전지를 더 오래, 폭발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향후 무인자동차용 배터리로 사용할 수 ... ...
[영상]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7.09.24
불과했죠. 그런데 태양이 성장하면서 태양과 가까운 곳에는 규소, 철, 니켈 같은
녹는점
이 높은 물질들이 남아 지구형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반대로 먼 곳은 얼음이나 메테인 같은 물질이 남아 수소, 헬륨과 함께 응축하며 목성형 행성을 이뤘습니다. 이런 행성들이 태양과 서로 끌어당기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