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도
융해온도
융해점
용융점
뉴스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팽창 위험이 줄어든다. 주석을 작은 입자로 만드는 데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주석의
녹는점
은 약 230°C로 낮은 편이기 때문에 열처리 시 입자가 쉽게 녹는다. 연구팀은 솔-젤(sol–gel) 공정과 열 환원 과정을 도입해 수 나노미터 크기의 주석 입자를 하드카본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데 ... ...
원자 1개 두께의 2차원 금속판 단조하는 '나노 대장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2D 금속과 합금뿐 아니라 다른 2D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도 효과적일 수 있다"며 "구리 등
녹는점
이 500℃ 이상인 금속에 대해서도 확장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5-08711 ... ...
금속 스텐트 대체할까…몸에서 자연 분해되는 스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폴리카프로락톤(PCL)과 폴리락틱애씨드(PLA)를 결합해 복합 구조체를 구현했다.
녹는점
이 낮은 PCL은 사람 체온에서 유연한 특성을 유지하고 높은 탄성률을 가져 변형 후에도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이 있다.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지닌 PLA는 혈관 확장에 사용될 때 혈관을 ... ...
中 희토류 자원에 의존하던 영구자석 국산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비교한 모식도. 재료연 제공 연구팀은 입계확산공정을 2단계로 나눴다. 1단계에서는
녹는점
이 높은 금속이 포함된 신물질을 영구자석에 침투시킨 뒤 상온에서 냉각처리했다. 2단계에서는 저렴한 경희토류 프라세오디뮴(Pr)이 포함된 물질을 다시 도포해 고온처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2단계 공정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포스텍, '아이스 아메리카노'에서 영감 얻어 전기전도도 우수한 금속유기 구조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다공성 소재를 용매에 잘 녹이면서 높은 전기전도도를 기록한 2차원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박선아 포스텍 화학과 교수, 박근찬 석박사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박선아 화학과 교수와 크리스토퍼 핸던 미국 오리건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공성 소재를 용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원자 당 전하 운반량이 1족 원소인 리튬의 2배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유리하다. 또
녹는점
이 높아 안정성도 크다. 그럼에도 아직 마그네슘이나 칼슘을 전하 운반체로 쓴 배터리가 상용화되지 못한 건 수명이 너무 짧기 때문이다.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전극 구조에 문제가 생겨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2012년 경북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불산가스 피해지역 내 포도밭 포도 잎이 누렇게 변해 말라 죽어 있다. 연합뉴스 제공 ‘불소’에 대한 거부감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불소가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2012년 경북 구미 소재 한 공장에서 탱크로리에 실려있던 불산(불화수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위키피디아 제공 1990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단백질 지정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는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런데 작업이 진행되면서 예상값이 점점 줄어들었고 해독 결과 불과 2만 개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대해 중요한 건 유전자 개수가 아니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상인터뷰] 몸에 닿으면 녹는 전자 잉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녹는 걸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일리가 취재했어. 자기소개 부탁해.나는 갈륨이야.
녹는점
이 약 30℃밖에 되지 않는 금속이지. 그래서 20℃ 안팎의 상온에 있을 때는 딱딱했다가, 체온이 36.5℃인 사람 피부에 닿으면 쉽게 녹아. 그래서 과학자들은 나를 ‘액체 금속’이라고도 부른단다. 나는 ... ...
[기획] 풍선껌 알고 불면 더 커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껌을 위한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습니다.
녹는점
이 약 30℃이기 때문에, 약 37.5℃인 사람 입에 들어가면 부드러워집니다. 초산비닐수지를 껌베이스로 만들려면 가공해 압축해야 해요. 많이 압축할수록 초산비닐수지는 단단해지고, 단단할수록 풍선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주머니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완성!우리가 먹는 초콜릿은 60% 이상이 카카오버터로 이뤄져 있어요. 카카오 버터의
녹는점
은 32~35℃로, 사람의 체온과 비슷하죠. 그래서 25℃인 상온에선 고체였던 초콜릿이 입 안에선 액체가 되어 사르르 녹습니다. 한여름 초콜릿을 실외에 오래 두면 초콜릿이 녹아 포장지에 달라붙기도 해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넣으면 녹아서 액체가 됩니다. 그 이유는 초콜릿의 재료인 코코아버터 등 지방 성분의
녹는점
이 상온보다는 높고 체온보다는 낮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초콜릿은 금속이나 유리 등 다른 재료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 덕분에 초콜릿으로 콜라 페트병뿐 아니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발효의 과학! 크루아상 빼빼로 만들기
기사
l
20231116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박도윤 기자입니다. 저는 어린이과학동아의 코너를 좋아합니다.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재미난 실험들이 많아서요. 지난 번에는 "초콜릿 컵 만들기"도 성공해서 맛있게 먹고, 녹는 점이 36.5도인 코코아버터를 상온에 두면 빨리 녹는다는 점도 알게 되었어요. 맛있는 라면도 실컷 먹으며 "컵라면에 숨겨진 과학" ...
2023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관람기 (과천 과학관)
기사
l
20231114
물방울의 크기와 비의 속도 등을 cctv를 보고 감지하여 비의 여러 가지 정보를 알아낸다 11. 질화갈륨 반도체 우리는 보통 반도체를
녹는점
이 29도로 매우 높은 갈륨과 질소를 합한 '질화갈륨' 을 사용한다. 질화갈륨을 이용해서 반도체를 만든 슈퍼컴퓨터의 장비 중 하나를 그냥 떼어온 것도 있었다. 감사합니다 ... ...
나도 섭섭박사! 꽁꽁 얼은 을 만들었어요!
기사
l
20230730
안녕하세요. 실험과 만들기를 좋아하는 박도윤 기자입니다. 드디어 여름방학이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사실 방학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친구들과 놀고, 다양하게 배울 수 있는 학교를 좋아하거든요. 폭염이 시작된 방학에 저처럼 심심해하는 친구들을 위해 재미있는 실험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13호(2023년 7월 1일자)에 나온 ...
세계 최초 한국형 육아방 연구에 주목!
기사
l
20230712
여러분, 이번 지사탐 특별 탐사에서 세계 최초로 진행되고 있는 연구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바로 노랑점나나니가 짓는 한국형 육아방에 대한 연구인데요. 한국에 사는 노랑점나나니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다른 노랑점나나니와는 다른 모양의 육아방을 짓는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지사탐대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러분도 궁금하시죠? 저는 지난 7월 ...
수소에 대해 알아보자!(8/4)
기사
l
20230408
오늘은 수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출처:사진 속에 있습니다.) 수소는 원소 기호는 H고 원자번호는1인 원소입니다.수소는
녹는점
이 -259.14도 끓는점이 -252.87도입니다.수소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가벼운 원소로 무색,무미,무취의 기체입니다.수소는 연소 효율을 하더라도 공해 물질을 내뿜지 않아 석탄,석유를 데체할 무공해 에너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