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정말 여러 분야에서 등장해요. 기하학, 대수학, 동역학, 해석학 등 많은 분야의 질문에서 정수론을 발견할 수 있어서 재밌습니다. Q. 우크라이나 출신의 수학자라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필즈상 수상 소식이 우크라이나에 어떤 의미를 줄까요? A. 당연히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 지금 어떤 종류든 ...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렇게 뛰어난 세공 기술을 불과 3cm 남짓한 금박 위에 펼쳐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줬다.이렇게 정교한 세공 기술을 현대 기술로 재현할 수 있을까? 김용운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등 금속공예에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했다. 1300년 전 통일신라의 장인이 새겼던 기술을 현대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수학을 재밌게 공부하자! 퀴즈 러닝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눌러 변수 ‘수1’과 ‘수2’를 만들고 ‘변수 저장’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계산-정수 랜덤값’ 명령블록을 가져와 수의 범위를 정해 주세요. 수의 범위에 따라 문제의 난이도가 결정되니 적절한 값을 입력해 보세요. ➌ ‘논리-만약(if) 아니면(else)’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논리-등호’,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얼음 안에 있는 공기가 빛을 통과시키지 않고 반사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얼음정수기에서 만든 얼음은 물을 끓여 공기를 빼내서 얼음을 만들기 때문에, 물처럼 빛을 대부분 통과시켜요. 덕분에 투명하게 보인답니다. Q긴장하면 왜 배가 아플까요? 김지성(joseph.kim1119) A사람의 뇌와 척수에는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증명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지요. 보형 형식은 주로 정수론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지만, 그 외에 조합론, 기하, 수리물리 등에서도 등장하는 만능 열쇠입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대표적인 업적은 고차원에서의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한 것입니다. 특이하게도 ...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만들 때부터 자연에 덜 미안하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나는 곳 한 켠에 마련된 ‘오니’가 그 주인공이었다. ‘슬러지’라고도 불리는 오니는 정수, 하수, 공장폐수 등을 처리하면서 생긴 찌꺼기다. 물에 녹지 않아 침전, 여과한 고형물만 따로 모아둔 것들로, 딱딱한 벽돌처럼 보였다.“이걸 협력사에 보내 녹생토로 만듭니다. 폐기하지 않고 녹생토로 ...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결과를 이번 강연에서 발표할 예정”이라며, “특히 기하학 및 정수론과 연결지어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는 작업이에요. 관전 포인트 4 ... ...
- [기획] 수학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제가 풀리다!수학동아 l2022년 06호
- 특별한 이유는 없어요.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종류의 문제인 것은 확실합니다. 저는 정수론과 조합론의 문제를 좋아하는데, 에르되시가 그런 종류의 문제를 많이 연구했거든요. 제가 생각한 문제 중 몇 개는 이미 에르되시가 생각했던 것들이더라고요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자기 분야의 연구 방향을 이끄는 리더”라고 치머만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과연 정수론의 떠오르는 샛별 치머만 교수가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
- [2022 필즈상 예측] 필즈상 수상으로 2인자에서 1인자 될까? 기호 7번. 바르가브 바트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데 이용해 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는데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주로 정수론 문제를 푸는 데 쓰일 거라 여겨졌던 퍼펙토이드 공간이 전혀 생각지도 못한 분야에 활용된 것”이라며, “학계에선 바트 교수가 가환 대수학 관련 연구를 꾸준히 해왔기 때문에 이런 획기적인 접근을 할 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