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루미늄"(으)로 총 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용한 프라이팬은 알루미늄으로 이뤄진 제품이었습니다. 19.85도(절대온도 293K)에서 알루미늄의 열전도도는 238W/mK, 철은 78W/mK입니다. 철 합금은 탄소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열전도도가 낮아지므로 주철의 열전도도는 이보다 낮습니다. 한 예로 4%의 탄소를 함유한 주철의 열전도도는 50W/mK입니다. 즉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역시 쾌남의 플렉스. 이제 이 모든 것을 조립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의자 아래를 받칠 알루미늄 상판은 특별 제작을 의뢰해 주문했고, 맨 아래 모터를 받칠 하판은 잭키 님이 직접 스틸 각파이프를 용접해 만들었습니다. 용접은 처음이라 곳곳에 구멍이 송송 나기도 했지만, 작품 완성도에는 별 ...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번은 너무 타서 눌어붙었습니다.특히 눌어붙는 건 사전에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습니다. 알루미늄 틀에 바로 반죽을 구우면 안 된다는 걸 직접 해본 뒤에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원정대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바닥처럼 코팅을 추가로 입혀 붕어빵 틀을 새로 만들어야 했습니다.여러 번의 시도 끝에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따라 지지대 길이를 저절로 조절하는 모터를 만들어 달았다. 필요한 부품을 만들기 위해 알루미늄을 깎고, 3D 프린팅을 하고, 아두이노를 사용해 센서와 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동아리 부원은 총 6명이었는데 컴퓨터과학과는 나 혼자였고, 나머지는 기계공학과였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내가 센서와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실패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연소 과정 중 추진제에 포함된 다량의 알루미늄이 산화되면서 슬래그(찌꺼기)로 변하고, 이 슬래그들이 내열재를 태우는 문제가 발생했다. 나로호 2단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탄소-탄소 복합재도 엄청난 고온을 견디지 못하고 타버렸다. 내열재의 설계를 ... ...
- [한페이지 뉴스] 알루미늄보다 가볍게! 금 물성 내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개발됐다. 라파엘 메젠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재료과 교수팀은 라텍스를 이용해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금 이온과 라텍스, 아밀로이드 등을 균일하게 섞은 혼합액에 염을 분사해 겔 형태로 만들었다. 이후 물을 에탄올로 대체한 뒤 압력 챔버에서 이산화탄소와 ... ...
- [Dr.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턱 힘이 얼마나 강해야 입에 칼을 물고 휘두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해괴한 결과물을 얻을 비밀 레시피를 많이 알고 있답니다. 이 영상에 등장하는 물질은 ‘알루미늄’과 ‘수은’이에요. 이 둘이 만나면 어떤 일이 벌어지냐고요? 아마 영상을 보면 깜짝 놀랄걸요 ... ...
- [핫이슈] 아담스 패밀리... 호러블리 가족, 친해지길 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렌즈로 햇빛을 모으고 단열 벽돌로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했지. 오븐은 열전달이 잘 되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었단다. 교수팀이 쿠웨이트와 같이 햇빛이 강한 나라에서 실험해 본 결과 오븐 온도가 200℃까지 올라갔어.연구를 이끈 아하바이베 교수는 “이 오븐으로 가스나 전기를 쓰거나 나무를 ... ...
- [쇼킹사이언스] UFO의 침공?! 로켓이 만든 인공 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가장 위의 보라색 구름은 바륨-스트론튬의 혼합물, 파란색과 하얀 꼬리구름은 트리메틸알루미늄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각각 전기를 띤 입자와 중성입자를 추적하는 데 사용돼요. 대기 상층에서 입자와 지구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은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발생하고,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실장은 “전방동체부의 내벽과 외벽을 탄소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그 사이에 알루미늄 벌집 구조물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발사체 부품과 조합체가 영하 200도부터 최고 1000도에 이르는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1단의 소재를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나로호 1단에서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