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루미늄"(으)로 총 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용기도 프리미엄 캔커피에서는 일반 캔이 아닌 ‘NB(New Bottle)캔’을 쓴다. NB캔은 알루미늄 재질로 페트병과 원통형 캔의 장점만을 모아 만든 것이다. 개봉 후 보관하거나 다시 마시기가 어려운 일반 캔과 달리 NB캔은 페트병처럼 가볍고 마개가 있어 다시 밀폐할 수 있다. 커피 성분과 용기까지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촘촘하게 박혀있던 톱니를 10개로 대폭 줄였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등 가벼운 소재로 만들었던 본체는 달의 방사선 ‘공격’을 견딜 수 있도록 탄소강화섬유로 대체했다. 현재 로버 무게는 10kg이다. 로버의 ‘눈’ 역할을 하는 카메라도 중요하다. 빛의 3원색인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순 없을 테니까요. 다행히 달에는 엄청난 양의 알루미늄이 있고요. 그런데 광물에서 알루미늄을 얻을 땐 부산물로 활성산소를 얻게 돼요. 만약 여러분이 우주에서 산소를 얻게 된다면, 어떻게 쓸 건가요? 당연히 호흡을 하는 데 사용하겠지요.Q 아르테미스는 달의 적도 근처에 있어요. 그런데 최근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있는지 분석했지요. 그 결과 달에서 가져온 암석은 산소 40%, 실리콘 20%, 철 12%, 칼슘 8.5%, 알루미늄 7.3%, 마그네슘 4.8%, 타이타늄 4.5% 등으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또 지구에서 찾기 힘든 헬륨-3과 헬륨-4도 발견됐지요. 이중 과학자들은 헬륨-3에 주목하고 있어요. 헬륨-3은 원자력 발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녹여 과포화 용액을 만들어요. 그리고 천천히 그 용액을 식히면 물 속에 녹아 있던 황산알루미늄칼륨이 일정한 팔면체 구조를 이루며 반짝반짝 빛나는 결정을 만들기 시작해요. 이때 용액에 석고나 파이프 클리너와 같은 고체 물질을 넣으면 다른 결정들이 달라붙는 ‘모결정’ 역할을 해요. 시간이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블루 다이아몬드와 공존하고 있는 다른 광물이 특정 이온(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철)을 교환하는 양상이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해 당시의 환경을 역으로 추산했다. 서울대 지체구조물리학연구실은 맨틀 깊이의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고온고압실험기기를 ...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실험한 결과, 얇은 홈에 있는 얼음은 주변 습기를 흡수해 너비가 25배나 늘어났다. 반면 알루미늄판의 나머지 부분 중 80~90%는 마른 상태를 유지했다.연구팀의 파자드 아흐마디 연구원은 “실험에서 어떠한 화학물질을 추가하거나 코팅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얼음이 자연 상태에서 지닌 ... ...
- [Issue] 그 돌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 먹는 광물 찾아 포항 광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혀가 붙는 느낌도 혀에 묻은 침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강 실장은 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제올라이트는 구조적으로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칼슘이나 나트륨 등과 같은 양이온이 구조 내에 함께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 양이온들은 주변 물 분자를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세슘보다 고유 진동수가 훨씬 큰 수은(Hg), 이터븀(Yb), 스트론튬(Sr), 인듐(In), 칼슘(Ca), 알루미늄(Al) 등의 이온 또는 원자들을 이용해 세슘원자시계보다 더 정밀한 시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가시광선, 자외선 영역인 수백 THz의 주파수를 가져 특별히 ‘광시계’ 라 불린다. 현재까지 보고된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방법은 대량 생산에 매우 효율적이었습니다.이 외에도 나카무라 교수는 질화알루미늄 완충층 대신 저온 질화갈륨 완충층을 도입했고, 질화갈륨 층을 성장하는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MOCVD) 반응기를 직접 설계해 결함 밀도가 낮은 높은 품질의 질화갈륨 층을 얻었습니다.결국 1993년 p형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