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루미늄"(으)로 총 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바닷물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석회와 화산재를 섞어서 콘크리트를 만들었는데, 화산재 성분이 바닷물과 만나면 알루미늄 결정이 만들어져요. 결정이 생긴 콘크리트는 이전보다 더 단단해진답니다. 덕분에 로마 건축물은 지금까지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요.연구를 이끈 마리 잭슨 교수는 “앞으로 재료의 혼합비율을 알아내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견뎌야 해요. 이를 위해 탐사선 맨 앞에는 커다란 ‘열 보호막’이 달려 있어요. 산화알루미늄과 탄소복합재료로 된 열 보호막은 막대한 양의 햇빛을 반사하고, 태양의 높은 온도에도 구조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줘요.이외에도 태양 전지판으로 열을 식혀 내보내는 기기도 달려 있어요. 이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격자 모양으로 접을 수 있는 알루미늄 시트를 제작하고, 접히는 모서리마다 소음을 확산시키는 원기둥 모양의 구조물을 배치했다. 시트를 접는 방식에 따라 원기둥 간의 거리와 각도가 달라지는 소음 차단벽을 만든 것이다. 컴퓨터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정도 쌓으면 그래핀-고분자물질 복합필름이 만들어진다. 복합필름의 두께는 집에서 쓰는 알루미늄 호일의 40분의 1 수준으로 굉장히 얇다. 또 유연한 고분자물질을 사이에 끼웠기 때문에 그래핀 층끼리 마찰 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가장 바깥 쪽 표면에는 그래핀이 벗겨지지 않도록 얇은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강도가 월등히 크다. 콘크리트에 하듯 치유제 캡슐을 넣는 방안도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에 치유제(Sn6Pb4)가 든 튜브를 심어놓고, 균열이 생겼을 때 가열하면 액상 치유제가 튜브 밖으로 나와 균열을 채우고 굳는다. 연구 초기인 만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금속이라는 소재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칼슘(Ca)이면 오렌지색, 바륨(Ba)은 초록색, 구리(Cu)이면 파란색을 띤다. 마그네슘(Mg)이나 알루미늄(Al), 티타늄(Ti)을 태우면 하얀색 불꽃이 만들어진다. 재미있게도 두 가지 금속을 섞으면, 물감 두 가지를 섞었을 때와 같은 색깔이 나온다. 빨간색을 띠는 스트론튬과 파란색을 띠는 구리를 함께 넣어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3D프린터로 피렌체 화분을 실물로 만들었다. 예전에는 CNC 방식으로, 사람이 직접 알루미늄을 깎고 색을 입혔다. 그렇다 보니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가격도 최소 30만 원 정도로 비쌌다. 반면 3D프린터를 쓰면 단 몇 시간 안에, 약 3만 원으로 화분을 뽑을 수 있다. 두 대표는 시청이나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 ...
- [과학뉴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 결과, 콘크리트 혼합물 속의 석회(칼슘산화물)가 바닷물 속 화산재와 반응하면서 알루미늄 토베르모라이트라는 광물이 성장하고, 곧이어 또 다른 광물인 필립사이트 결정이 생성된 것으로 밝혀졌다.이들 광물이 미세한 섬유와 판 구조를 형성해 콘크리트의 탄력을 높여 수명을 늘린 것이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3화] 땅 속에 있는 보물을 발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결정은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체 상태의 물질이지요. 땅에는 산소와 규소, 알루미늄, 철 등 8가지의 원소가 전체의 98% 차지하고 있어요. 이 원소들이 마그마나 땅 사이에 흐르는 뜨거운 물에 녹아 있다가 식는 과정에서 규칙적인 형태로 뭉쳐져 결정이 만들어지지요. 그 중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동시에 강도가 큰 재질일수록 좋은 강판입니다. 최근에 포스코가 개발한 ‘기가스틸’은 알루미늄보다 가볍지만 1mm2 면적당 100kg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고 해요. 물론 비싸서 대중적인 차를 만들 때는 쓸 수 없겠지만요.구겨져야 오히려 안전하다?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충격량 보존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