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생성 인공지능(AI)이 인간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심지어 인간보다 더 잘해내기까지 한다. 인간보다 똑똑한 AI 탄생의 주역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이다. 대규모 언어모델은 로봇공학 분야에도 변곡점이 될 수 있을까. 똑똑한 뇌에 걸맞는 기계 몸이 탄생할지 알아보자. ‘AI 로 ... ...
-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버려진 밀기울, 보리박 등을 식품으로 활용한다면, 위생 문제가 있지는 않을까요? 식품 부산물을 어떻게 맛있는 과자로 만들 수 있는지, 식품 부산물 제조 기업에 물어봤습니다. 바삭한 업사이클드 과자의 비밀 식품 부산물을 제품으로 탄생시키려면, 우선 식품 부산물을 얻어야 해요. 쌀 부산물로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첫 시작은 캐릭터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번 화에서는 로블록스 설치부터 게임을 시작하는 방법까지 함께 살펴볼 거예요. 로블록스를 시작할 때 캐릭터에 나만의 개성을 담아 멋지게 꾸밀 수 있는 방법도 알아봐요! [편집자 주]로블록스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 ... ...
- [카레 비법] 야채를 모아 볶아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당근과 감자가 프라이팬에 모였어요. 당근 1개와 감자 9개가 모여 총 10개! 당근과 감자가 모여 10개가 되는 방법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으로 양파와 토마토가 모였어요. 그런데 양파 6개와 토마토 6개…, 총 10개가 넘었어요! 이럴 땐 6과 6을 가르고 모아 10을 만들어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영재학교 학생들에게 소수교 활동은 재밌는 오락거리일 수밖에 없다. 또한 소수를 매개로 수학에 관심을 더 가질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대학에서 생명공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소수교 부원 최도휘 학생은 2학년 때 소수교에 가입했다. 그는 영재학교에서 1년을 보내며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페르마, 오일러에 이어 소수 규칙을 발견하는 영광에 도전한 또 다른 최고의 수학자가 있었으니, 그 이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다. 가우스는 독일이 낳은 위대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다. 앞서 언급한 가우스의 말은 오늘날까지 널리 회자된다. 가우스가 연구에 매진한 18세기에는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지난 줄거리지하 도시정부인 메디움 시티의 모든 공적 업무는 AI 시스템 ‘우나’가 담당한다. ‘선’은 이곳 지하 도시의 유일한 구태인(비사이보그인)이다. 최대 명절인 ‘조우의 날’, 선은 공립 도서관이 있는 중앙 광장에 가기 위해 1인용 캡슐 열차에 탄다. “선, 이제 곧 메디움 시티 중앙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혹등고래 한 마리가 배 주변을 돕니다. 그러더니 인간이 내는 고래 소리에 ‘꾸엉’ 응답합니다. 배 위 과학자들의 목적은 혹등고래와 대화를 하는 겁니다. 외계 지적 생명체와 대화하기 위한 전 단계로, 먼저 혹등고래와 이야기를 나눠보겠다는 거죠. 과연 혹등고래와 진짜 ‘대화’를 나눴을까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낯선 정적이 감돌았다새들이 모이를 쪼아 먹던 뒷마당은 버림받은 듯 쓸쓸했다. 죽은 듯 고요한 봄이 온 것이다.” 1962년 출간된 ‘침묵의 봄’은 살충제 사용으로 새들이 죽어버려 침묵에 빠진 봄을 형상화하며 전 세계적인 환경 운동을 일으킨 고전이다. 이 책을 지은 레이첼 카슨은 어떤 사람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장 먼저 다룰 수학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다. ‘정수론의 창시자가 피타고라스라면 정수론을 학문의 경지로 끌어올린 사람은 페르마’라는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로 불린다.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