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체스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8줄씩 격자로 그려진 판 위에서 2명이 다양한 기물들을 규칙에 따라 번갈아 움직여 겨루는 보드게임입니다. 게임의 순간마다 기물을 움직일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체스를 잘하려면 고도의 계산 능력이 필요하지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컴퓨터의 성능을 보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조선시대의 휴대용 해시계인 ‘원구일영’이 어떻게 시각을 알려주는지 연구자들이 밝혀냈어요. 원구일영은 지름★의 공 모양 해시계로, 134년 전인 1890년에 만들어졌어요. 보통의 해시계는 한곳에 고정돼 있지만, 원구일영은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든 시각을 읽을 수 있어요. 하지만 오랜 세월이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투수가 던진 공을 어떻게 받아쳐야 장타가 나올까? MLB에서는 이를 연구해 ‘배럴 타구’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MLB 2015시즌에 나온 모든 타구 중 타율 5할, 장타율 15할 이상인 공들을 분석해 타구 속도가 약 158km/h 이상, 공의 발사 각도가인 타구를 배럴 타구라고 정의했다. 공의 속도가 158km/h보다 빠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축구는 약 105m×68m인 운동장 위에서 11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뤄 공 하나로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다. 105m×68m = 7140m2이므로 한 명이 무려 약 650m2을 책임져야 한다. 아무리 기량이 뛰어난 선수라도 650m2이나 되는 공간을 한 사람이 맡기 힘들기에 선수들은 동료 선수와 협력해서 상대 팀 선수를 막아야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만화에서 김재희 교수는 매일 관측한 지구와 토끼 행성의 거리가 ‘피보나치 수열’을 따른다고 보고 토끼 행성의 위치를 예측했어요. 피보나치 수열이란 처음 두 항이 1, 1일 때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의 배열을 의미해요. 피보나치 수열을 처음 언급한 문헌은 기원전 5세기 인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3년 1월, 영국 맨체스터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의 천문학자들은 남반구의 비둘기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NGC 1851에서 미세한 전파 신호를 포착했다. 초당 179회 이상 회전하는 밀리초 펄사 ‘PSR J0514−4002E’였다. 펄사는 엄청나게 빨리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뿜어내는 중성자별 ... ...
- 선수의 가치 평가하는 세이버메트릭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프로야구 시즌이 끝나고 다음 시즌이 시작하기 전까지를 ‘스토브리그’라고 부 른다. 이 기간에 각 구단은 우승을 위해 꼭 필요한 선수를 점찍고 협상을 통해 영입한다. 그렇다면 선수를 무엇으로 평가해서 영입할까? 최근에는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를 통해 선수의 가치를 평가하고 우선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오프너 전략을 이용했던 탬파베이 레이스는 2010년대부터 타자에 따라 수비수 위치를 조정하는 ‘수비 시프트’를 이용해 실점을 막아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어떤 타자가 공을 치면 대부분 왼쪽으로 보낸다고 하면 오른쪽에 있던 수비수를 다 왼쪽으로 보내 철벽을 세운다. 혹은 공을 외야로 많이 ... ...
- 하스스톤 확률 이용해 카드 내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기자가 취재하면서 수학자나 수학 잘하는 학생들에게 좋아하는 게임 있냐고 물어보면 열의 아홉은 ‘하스스톤’을 이야기한다. 게임을 즐기며 간단하게 확률을 계산해볼 수 있고, 그걸 바탕으로 게임하면 이길 수 있어 재밌단다. 하스스톤은 워크래프트를 기반으로 만든 디지털 카드 게임이다. 공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셜 미디어 세상에 한 번 들어가면 한두 시간이 금방 지나간다. 그곳은 24시간 활기가 넘치고, 재밌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그 때문일까. 일단 시작하면 멈출 수 없고, ‘그만해야겠다’고 생각해도 빠져나오기 힘들다.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지 않을 때는 왠지 불안한 마음이 들고, 무언가에 홀린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