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가"(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쉽지요. 몸무게에 따라 얼마나 많은 약물을 먹어야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할 때도 개가 중요한 실험 대상이 된답니다.각 동물의 대표적인 쓰임새를 살폈지만 사실 어떤 동물을 어떤 실험에 쓸지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해요. 과학자들의 연구를 보다보면 전혀 예상치 못했던 곳에 실험동물을 ...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쫓는 걸로 가정한 뒤, 변형된 ‘추적곡선’을 이용해 크리스털의 위치를 추적했어요. 개가 FBI, 고양이가 크리스털과 벅인 셈이죠. 그런데 사실 개는 고양이를, 그 고양이는 쥐(빌리)를 쫓고 있어요. 즉, 우리가 잡고자 하는 고양이에게 영향을 주는 집합이 두 개예요. 개와 쥐! 고양이는 쥐를 따라잡기 ...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애증의 관계야. 사람들 때문에 멸종될 뻔하다 6000년 전쯤 가축으로 변신해 살아남았거든. 개가 3만 2000년 전에, 소가 1만 년 전에 가축이 된 것과 비교하면 많이 늦긴 해. 사람들이 우릴 다루기 힘들어 했던 것 같아. 하지만 우린 굉장히 사회적인 동물이야. 다른 말과 금방 친해지고, 주변에 말이 ...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도둑질해서 먹는다며 욕을 하지만, 사실은 사냥 하는 능력도 뛰어나다오.아무튼 개가 자신의 배설물로 영역 표시를 하듯 고양이도 영역 표시를 한다고 들었수. 수염 옆에 있는 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나무 같은 물체에 묻혀서 ‘여기는 내 영역!’이라고 알린다고 하우.나도 마찬가지로 시큼한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찾기도 쉽고 기억하기도 좋아요. 하지만 겨울에는 북두칠성을 이루는 일곱 개 별 중 몇 개가 땅 밑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카시오페이아를 찾는 것이 좋답니다. 특히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이용하면 폴라리스라 불리는 북극성을 빨리 찾을 수 있거든요. 카시오페이아의 가운데 별과 양쪽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꼬리를 흔들고 배를 드러내 보이고, 고양이는 몸을 부비며 애정을 표현하지요. 한편 개가 사람의 입술을 핥는 행동은 애정표현이 아니에요. 개의 뽀뽀는 ‘밥을 달라’는 의미랍니다.반려동물이 공격한다?동물이 사냥하거나 위험에 빠졌을때 나타나는 행동을 ‘공격행동’이라고 해요. 개는 위험할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만들었다고 해서 화제가 됐다. 출시 1년이 지난 현재 ‘시청견’ 100만을 돌파했다.그러나 개가 TV를 보면 프레임 수가 적은 옛날 영화를 보듯 계속 끊어져 보인다. 개의 원추세포는 80Hz까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초에 80장의 프레임이 바뀌는 걸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다. TV 화면은 초당 60번 ... ...
-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비법?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한 마디 더. 맨 위에 나온 ‘상대가 나를 좋아하게 하는 비법’에는 파우스트의 비루먹은 개가 한 제안처럼 치명적인 단서가 달려 있다. 심리적 호불호는 좋은 쪽으로만 강화되는 게 아니라는 사실. 몰랐지만 만약 상대가 처음부터 당신을 싫어했다면(지못미…) 당신의 반복 노출은 매력이 아니라 ...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개가 했으리라고는 믿기지 않는 말도 있었습니다. 손발이 오그라들지 않습니까?죽은 개가 말을 한다?이걸 보니 애니멀 커뮤니케이터라는 사람들에게 의심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동물행동학인 줄 알았더니 갑자기 말도 안 되는 심령술로 빠졌으니까요. 좀 더 찾아보니 TV프로그램인 ‘동물농장’에서 ... ...
- 늑대와 개의 차이는 OOO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인류도 녹말을 소화하기 쉽도록 진화했다는 거예요. 식생활의 변화를 통해 인류와 개가 나란히 바뀌는 ‘평행진화’가 일어났다는 이야기지요. 또 저희는 아밀라아제뿐만 아니라 말타아제라는 효소의 유전자도 늑대보다 훨씬 길어요. 말타아제는 아밀라아제처럼 탄수화물을 소화할 때 필요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