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가"(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미끄럼틀에는 어떤 착시현상이 숨어 있을까요? 맨 꼭대기에 빽빽하게 들어찬 공 여러 개가 아래로굴러 떨어지지 않고 있어요. 놀랍게도 공을 미끄럼틀의 맨 끝에 두면 마치 자석에 끌리듯 위로 올라간답니다.2010년 수상작인 이 미끄럼틀도 특정 방향에서만 평범한 미끄럼틀로 보이는 착시를 ...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곳이에요. 반면 먹이를 바랄 때 반응하는 뇌의 보상회로 부분은 활성화되지 않았어요. 개가 사람이나 개의 모습을 알아보고 반가워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진 거예요.그레고리 번스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개도 사람이나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얼굴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이 있다는 ... ...
- #캣스타그램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고양이와 개는 늑대와 공통조상을 가진 육식동물의 후예이지요. 야생고양이와 야생 개가 삵이나 늑대처럼 보이는 이유입니다.이들은 사람과 친해지는 과정에서 귀여움을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바꿔 말하면 사람이 귀여움을 느낄 만한 종들만 살아남았다는 뜻입니다. 예컨대, 하얀 터키쉬앙고라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순경 : 강력계에 산이 아니라 강을 중심으로 수색해야 한다고 말했더니 비웃음만 샀어. 개가 실종자의 지갑을 물고 강가에서 마을회관까지 1km 넘게 걸어서 마당의 잘 보이는 곳에 갖다놨다는 게 말이 되냐는 거지. 지갑에서 나는 물비린내는 일반인들이 분간할 수 없을 정도니 냄새를 맡은 거라고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발견국제 공동연구팀은 윌런스 호수의 물과 퇴적물 샘플을 분석해, 물 1㎖에서 13만 개가 넘는 세포를 발견했어요. 또한 샘플에서 만 3931종의 미생물을 발견했답니다. 연구팀은 “햇빛은 물론 대기도 차단된 환경에서 미생물들은 호수 바닥에 깔린 침전물이나 바위의 철분, 황 등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관심을 보여 병원에 갔더니 피부암 진단을 받았다는 이야기에서 힌트를 얻어 정말 개가 냄새로 암을 진단할 수 있는지 실험해 보기로 했어.이들은 개 6마리에게 오줌 냄새를 맡고 방광암을 구별하는 훈련을 시킨 뒤 실제 방광암 환자의 오줌 냄새를 맡게 했단다. 그랬더니 개들은 41%의 확률로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성 있게 지켜봤다. 37종의 개 70마리가 대변 1893번, 소변 5582번 싸는 걸 지켜본 결과, 개들이 자기장의 남북방향으로 변을 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관찰대상이 된 개들은 진저리가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몸이 가볍고 날개가 강하다보니 잘 날아다닌다. 나무 위도 쉽게 올라간다니, ‘닭 쫓던 개가 지붕 쳐다본다’는 속담이 빈말이 아니다. 옛 그림에 나오는 것처럼 알을 잘 품고 볕이 좋은 날에는 병아리를 데리고 산책 다니길 즐긴다. 알을 잘 돌보지 않는 토착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관광지에서 흔히 ... ...
- [수학뉴스] 혼자 백 마리의 양을 모는 양치기 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근 효과적인 양떼 몰이를 위한 수학 모델을 고안해 발표했다. 우선 연구팀은 양치기 개가 46마리의 암컷 양들을 몰도록 했다. 그리고 GPS로 개의 움직임을 추적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했다.그 결과, 개는 각각의 양을 보고 움직이는 게 아니라 양들 사이의 간격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참을 수 없는 강아지의 귀여움’ 비결은 ‘옥시토신’ 호르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깼다. 옥시토신을 맡은 개의 ‘애교’에 넘어가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가 주인과 함께 있는 시간과, 눈을 마주치는 시간 역시 옥시토신을 맡은 경우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옥시토신은 사회성을 증진시켜주며, 심지어 다른 종 사이에서도 사회성을 높여준다”고 결론지었다. 이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