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가
재초
전가
d라이브러리
"
개가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조사 결과 프랑스에서도 반려견의 39%가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나왔고, 호주에서는 뚱뚱한
개가
전체 개의 41%나 된다고 해요. 사람과 같이 먹고, 자고…. 생활습관이 같으니까 살도 같이 찌는 거죠, 뭐.통통하면 보기 좋지 뭘 그러냐고요? 아니에요. 우리도 뚱뚱해지면 성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져요.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발견된 유기동물 수는 총 1만 8624마리로, 2009년에 비해 10.1%나 증가했지요. 특히
개가
1만 1120마리, 고양이는 7092마리로 가장 많았어요.서울시는 유기동물을 발견하면 보호시설로 보낸 뒤, 동물보호관리시스템 (www.animal.go.kr)에 공고를 내고 주인을 찾아 줘요. 하지만 공고된 지 10일이 지나도록 주인이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개는 늑대에서 갈라져 나온 이후로도 10만 년 이상을 야생에서 살았다는 뜻이다. 이런
개가
어떻게 인류의 친구가 됐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가장 가깝고 친숙하지만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를 통해 동물행동학에 입문해 보자. ‘네이처’ 미국편집자 출신의 과학저술가 스티븐 부디안스키의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지구에서 무려 39억 광년이나 떨어진 먼 은하에서 엄청난 일이 일어났다. 은하 중심에 꽈리를 틀고 있던 거대한 블랙홀이 주변을 지나가는 별을 집어삼킨 것. 블랙홀의 강력한 중 ... 감마선폭발을 관측하는 것이나 이번에 블랙홀이 별을 삼킬 때 나오는 제트를 관측하는
개가
를 올렸다.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몸집이 큰
개가
작은 개에 비해 직장 온도가 낮았으며, 몸무게가 같은 경우에는 비만인
개가
정상체온의 개보다 낮았다. 리피네티 교수는 “이 결과는 비만과 체온 저하에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동물이 비만이 되는 이유는 섭취한 에너지보다 소비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이다. 섭취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간마다 전자석이 설치된 장치가 가득했다. 큰 장치 하나에는 손가락만 한 전자석 수십
개가
옆으로 길게 붙은 채 위에 한 줄 아래에 한 줄, 마치 피아노 건반처럼 촘촘히 붙어 있었다.“삽입장치의 일종인 ‘언듈레이터’입니다. 위아래로 극이 엇갈리게 배열한 전자석 사이로 전자가 지나가면서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초당 500프레임)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이 확인됐다.즉
개가
혀의 연속 왕복운동으로 우유를 마실 때 입안으로 들어가는 양이 3단계에 걸쳐 목으로 넘어간다는 것. 즉 혀의 뒷부분과 입 천장의 뒷부분(연구개라고 부른다) 사이에 처음 들어온 분획이 있고 혀의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육에 쓴다.그가 처음 ‘미래뉴스’ 블로그에 글을 쓴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물론
개가
나와 방의 말을 잡고 계백이 더 전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때도 도나
개가
나오면 김유신에게 잡힐 가능성이 생긴다. 계백은 걸이 나와 사려로 말을 이동한다(그림 2). “김윷신이란 말 들어봤나? 우리나라에선 내가 윷신으로 통한다 이거야. 모 나와라~!” 판세는 불리해도 여전히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영국 옥스퍼드대 인지·진화 인류학부 연구팀이 동물의 뇌 크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뇌가 가장 커진 동물은 원숭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11월 22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렸다.연구팀은 현생 포유류의 뇌 크기와 과거 동물들의 화석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포유류 500 종의 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