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동"(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설명할 수 있다. 부작위 편향은 어떤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손실보다 행동을 했을 때 돌아오는 손해에 더 신경을 쓰는 심리 현상이다. 슬로빅 교수는 “부모들 역시 백신을 맞지 않았을 때의 위험보다 백신을 맞고 난 뒤 부작용을 더 신경 쓰는 부작위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백신을 맞을 수 있음에도 백신을 맞지 않는 것은 집단면역의 혜택에 기생하는 이기적인 행동임을 알아야 한다.박수형_park3@kaist.ac.krPOSTECH 분자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월, 영국 퀸메리런던대 올리 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처음 보는 행동도 금새 배운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뒤영벌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 ... 단지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위해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행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계속하는 것과 같다고 부연했다. 스피겔 교수는 “최면을 거는 사람이 지시하는 대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뇌 영상 분석으로 찾은 것”이라며 “앞으로 최면각성 상태 때 뇌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doi:10.1093/cercor/bhw220). 이에 대해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순간을 남겨야 하지 않을까?노마는 찰나의 순간에 두뇌를 스치고 지나간 직감을 행동에 옮겼다. 그 직후 파괴적이고 단단하고 적의를 잔뜩 품은 에너지가 노마의 주변을 종횡으로 찢었다.노마는 눈을 뜨고, 입자 단위로 분해되기 직전 잔뜩 찡그린 마크의 맨 얼굴을 바라보았다. 그의 뒤를 따라 군체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해요. 정형행동은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야생에서 하지 않는 자기 학대나 무기력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뜻해요. 우리에게는 소풍 장소인 곳이 동물에게는 감옥일 수 있어요. 백호 탄생의 슬픈 비밀에버랜드에 가면 백호를 볼 수 있어요. 흰색 피부와 검은색 줄무늬, 푸른색 눈동자까지! 보는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준비물은 석궁과 모래시계, 염소. 한 명은 트럼펫을 불고, 한 명은 잭이 말한 이상한 행동(?)을 하면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연 블랙 펄을 되찾을 수 있을지 영화에서 확인해 보자. 그들은 스패로우를 찾고 있어캐리비안의 해적 1~4편을 모두 본 독자라면 잭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는 걸 알고 ... ...
- [과학뉴스]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짝짓기 행동에 관한 새로운 해독법이 나왔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다라 오르바흐 연구원 팀은 지난 4월 22~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7 실험생물학 연례회의’에서 고래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 모양을 시각화해 짝짓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발표했다.짝짓기를 할 때, 바닷물이 암컷의 자궁으로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발달 등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LP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표현형을 만드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개발해 1000개의 돌연변이 표현형에 대한 원인도 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생물학적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선택과 공분산’은 1970년 8월, 해밀턴의 ‘진화 모델에서 이기적 행동과 악의적 행동’은 그해 12월에 출판되었다. 프라이스 방정식이 완벽하게 새로운 성과임을 내세우려는 듯이, 프라이스의 논문은 참고 문헌을 단 한 편도 인용하지 않은 희한한 논문이었다.+ 더 읽을거리Wilson, D. S. (2007). Evolution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