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동"(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발한 뒤에 바로 그 방법으로 처벌할 것이….”그러나, 탐사 로봇이 그때로서는 아기의 행동에 대해서 아는것이 아무것도 없었다는 점이 문제였다. 무릇 아기는 방바닥을 굴러 다니는 이상하게 생긴 것이라면 무엇이든 집어 먹는 버릇이 있기 마련이고, 깜찍하게 움직이는 탐사 로봇을 보자 바로 그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희생시켜야 해 생명윤리 문제가 있었다.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에 항암제를 먹인 뒤 행동과 성장 등을 관찰한 결과 벌레의 크기 변화, 알의 개수, 알의 부화 속도, 생식세포의 형태 등을 통해 항암제의 독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기존 독성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용 쥐 100마리를 희생시켜야 하고 실험 ...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흔히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에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느냐’고 이야기 하는데,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 어떻게 관계를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 행동’ 6월호에 게재됐다. doi:10.1016/j.anbehav.2017.04.00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고통을 느끼는 양을 알아보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컴퓨터연구소 피터 로빈슨 교수팀은 양의 표정을 관찰해 통증 정도를 알아낼 ...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 12회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자동얼굴및행동인식 콘퍼런스’에서 6월 1일 발표됐다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자폐증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앱이 발표됐다. 자폐증은 사회성 결여, 반복적인 행동 등으로 대표되는 발달장애다. 아직 학부생인 미국 뉴욕주립대 컴퓨터공학과 조근우 씨(아래)가 개발했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사진을 볼 때 일반 사람과는 달리 시선이 분산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조 ...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념과 수식으로 설명했고, 이를 통해 ‘개체보다 집단에 유리하다면 이타적 행동이 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던 기존의 집단선택론을 무너뜨렸다.전 교수는 이타성 외에 다른 협력도 소개했다. 협력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일방적으로 돕는 이타성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하면 좋은 인성을 기를 수 있거든요.게임을 할 때 서로 존중하면서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법, 즉 페어플레이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저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새로운 보드게임을 또 만들어 볼 계획이니 기대해주세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일하는 하인들이 특히 이 고양이를 예뻐했다. 가끔은 고양이가 시킨 대로만 말하고 행동하기도 했는데, 영리한 고양이는 이를 이용해 남들이 이 성과 땅의 주인을 청년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다. 덕분에 우연히 영주의 성에 들른 국왕도 속아 고양이의 주인인 청년을 영주로 착각했다. 그리고 청년을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또 개미와 섞여 행진하고 다른 먹이를 함께 공격하는 등 개미처럼 행동하기도 해요. 게다가 개미와 비슷한 냄새를 풍겨서 시력이 좋지 않은 개미들은 우리를 진짜 개미로 착각하지요.우리는 이렇게 개미와 함께 살다가 개미를 잡아먹는답니다. 보통 5000마리의 개미 중 1마리의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및 분자 생명과학’ 저널에 실린 연구 결과(doi:10.1007/s00018-006-6109-4)’와 2015년 ‘호르몬과 행동학’ 저널에 실린 연구 결과(doi:10.1016/j.yhbeh.2014.06.003)를 보면 사람은 다른 포유류에 비해 서골비 기관이 덜 발달했다. 서골비 기관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냄새 분자보다는 물이나 오줌 같은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