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인 달 탐사 본격화할까...역대급 우주발사체 'SLS' 16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실리는 초소형위성(큐브샛) 10기도 임무 수행에 나선다. 달과 함께 지구를 공전하며 달
표면
에서 물과 자원을 탐사하고, 작은 소행성 주위를 맴돌면서 주변 환경을 관측하고 추후 소행성 탐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14일 발사가 이뤄지면 SLS에서 분리된 오리온은 내달 초 지구에서 45만 616km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오존층이 파괴된 결과 지구
표면
에 도착하는 자외선의 양은 전보다 훨씬 많아져서 햇빛에 노출된 사람세포에 들어 있는 DNA를 파괴해 변형시킬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DNA에 들어 있는 유전자가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면 세포는 정상적인 ... ...
벌개미취·더덕 등 자생식물, 코로나 감염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막는다는 분석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는 엔도좀이나 세포
표면
형질막과 융합한 형태로 인체 세포 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 두 경로는 공통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외피막과 인체세포 세포막 사이의 ‘막 융합’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두 식물의 특정 물질은 막 융합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왜곡 신호 없는 전자전도 정량적 추출 방법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극 소재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큰 시료에서 전도성 원자력 현미경(C-AFM) 운용 시 발생하는 왜곡 정보인 용량성 전류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어슨 상관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해당 왜곡 정보를 제거했다. 또 이 방법론을 실리콘·흑연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리튬과 포타슘이 풍부하다는 것이 이례적"이라며 "오래된 별이 자성을 가지고 있고
표면
온도가 낮다는 점에서 흥미롭다"고 말했다. 피어-임마누엘 트렘블레이 워릭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번에 관측된 두 개의 백색왜성은 태양계가 형성될 때와는 다른 환경에서 형성되 행성에 대한 정보를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브레인칩은 뇌 신호를 읽거나 뇌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뇌
표면
에 부착하거나 뇌 속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면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1870년대 처음 밝힌 이후 1950년대부터 구체적 연결고리를 찾는 기초연구를 ... ...
위기의 탄소저장고 '이탄지'…기후변화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식물들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가 방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비결이다. 지구 지
표면
의 3%만 차지하는 이탄지에는 최소 약 550억Gt(기가톤)의 탄소가 저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 전 세계 토양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의 44%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이탄지가 1년간 흡수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팔라듐 백금 코어-쉘 나노입자 3차원 구조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아니라 단일 원자 수준에서도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론적으로만 예측됐던 계면과
표면
구조 변형도에 대한 상관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양용수 교수는 "그동안 2차원적인 분석 또는 낮은 분해능에 국한된 코어-쉘 구조 연구에서 벗어나 원자 하나하나까지 3차원적으로 들여다본다는 ... ...
진단 현장에서 병원체 고감도 검출하는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이를 통해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했다. 또 OPE 화합물의 구조를 변경해 센서
표면
특성을 바꿔 다양한 임상 샘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센서로 혈액 샘플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대장균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센서 수용체만 바꿔주면 다른 박테리아를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 교수팀은 얼음
표면
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표면
작용기가 결합과 해리를 반복하면 얼음 성장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친수성 고분자의 농도를 조절하면 그 속도를 최대 3배까지 빠르게 만들거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느리게 할 수도 있었다. 지금까지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